11. 足少陽 膽經

동양의학 2009. 11. 8. 20:48

11. 足少陽 膽經(GB)[Gall Bladder Meridian](五行屬性 : 木性)

 

족소양담경의 순행[足少陽膽經流注]
족소양경맥은 눈귀에서 시작하여 옆머리로 올라갔다가 귀 뒤로 내려와 목을 따라서 수소양경맥의 앞을 지나 어깨에 가서 다시 수소양경맥의 뒤로 돌아 나와 결분(缺盆)으로 들어갔다.
그 한 가지는 귀 뒤에서 귓속으로 들어갔다가 귀 앞으로 나와 눈귀로 갔다.
계속 대영혈(大迎穴)로 내려가서 수소양경맥과 합쳐 광대뼈 아래로 내려가서 협거혈(頰車穴)을 지나 목으로 내려간다.
계속하여 결분에서 합하여 가슴속으로 내려가 가름막을 뚫고 지나 간을 얽은 다음 담에 속하고 다시 옆구리를 따라 기충혈(氣衝穴)로 가서 음모의 경계를 돌아 비염(환도혈) 속으로 들어갔다. 곧바로 가는 가지는 결분에서 겨드랑이로 내려와 가슴속을 지나 계협(季脇, 옆구리의 뼈를 갈비대라고 하고 갈비대가 끝난 곳을 계협이라고 한다)을 따라 내려와서 비염(배 아래 넙적다리 위에 뼈마디가 있는 곳) 속을 지나서 넙적다리의 바깥쪽으로 내려가 무릎 바깥쪽(양릉천혈)으로 나와 바깥쪽 보골(보골은 정강이뼈를 보좌하는 뼈로 정강이뼈의 옆에 있다) 앞으로 곧바로 내려가 절골의 끝(양보혈)을 거쳐 바깥 복사뼈 앞(구허혈)으로 나와 발등을 따라 네번째 발가락 밑마디 앞의 협계혈, 밑마디 위의 임읍혈을 거쳐 끝에 있는 규음혈로 나갔다.
그 한 가지는 발등에서 갈라져 엄지발가락뼈로 들어가 그 끝으로 나왔다가 발톱을 뚫고 발톱 뒤 털이 있는 곳으로 나왔다(여기서 족궐음경맥과 연계된다).

○ 시동병(是動病)은 입이 쓰고 한숨을 쉬며 가슴과 옆구리가 아파서 몸을 잘 놀리지 못하고 심하면 얼굴에 약간 때가 낀 것 같고 몸에 윤기가 없으며 발 바깥쪽이 다는데 이것을 양궐(陽厥)이라고 한다. 이것은 주로 뼈와 관련되는 병이다.
○ 소생병(所生病)은 머리가 아프고 옆턱과 눈귀가 다 아프며 결분 속이 붓고 아프다. 겨드랑이 아래가 붓고 마도창이 생기며 땀이 나고 추워 떨며 학질이 생기고 가슴과 옆구리, 넙적다리와 무릎의 바깥쪽, 다리와 절골, 바깥 복사뼈 앞 등 모든뼈마디가 다 아프며 네번째 발가락을 쓰지 못한다. 이 경맥의 기가 실할 때에는 인영맥이 촌구맥보다 배나 크고 허할 때는 인영맥이 도리어 촌구맥보다 작다[영추].
○ 이 경맥의 경기는 자시(23~1시)에 이문혈에서 시작하여 동자료혈에서 교체되고 머리와 귀, 옆구리를 따라 내려가서 발끝에 있는 규음혈에서 끝났다[입문].
○ 족소양경맥은 규음혈에서 시작하여 창롱(窓籠)에 가서 끝났다. 창롱이란 귓속을 말한 것이다[영추].

主治 : 頭,耳,目,喉,鼻,胸脇疾患,熱性疾患,임파선 疾患

1. 담경의 순행과 해설 및 허실구분

가. 담경의 순행

족소양담경은 외안각(外眼角) 동자료에서 시작하여, 상향 수소양삼초경의 화료혈을 지나 두각부위에 이르러 족양명위경의 두유을 교회한 후 다시 하향(下向)하여 귀뒤에 이르러 수소양삼초경의 각손혈을 교회하고, 두경부를 따라 수소양삼초경의 앞을 지나 수태양소장경의 천용을 교회한다.

더 밑으로 내려가 어깨위에 도달한 후에 되돌아와서, 수소양삼초경의 후면에서 교출하여 배부를 향하여 가서 독맥의 대추혈을 교회하고, 수태양소장경의 병풍혈을 경과하여 쇄골상와 함중으로 진입한다.

일조분지는 귀뒤에서 수소양삼초경의 예풍혈을 지나 귀속 즉 이중(耳中)으로 진입하고, 또 귀앞으로 친출하여 수태양소장경의 청궁, 족양명위경의 하관을 지나서 외안각 (外眼角)의 뒤즉에 이른다.
또 다른 일조분지는 외안각에서 갈라져 하향(下向)하여 족양명위경의 대영혈 부위에 도달하여, 수소양삼초경과 회합 (會合)한후 안정 즉 눈동자의 하면에 까지 온다.

다시 하향하여 협차혈를 지나 경부에 이르러 상술한 맥과 쇄골상와에서 회합한후, 다시 흉중으로 하향하여 심부에서 수궐음심포경의 천지혈을 지나 횡격막을 통과해서 간과 연락되며, 담에 통속한다.

그리고난 후 다시 협늑의 이면을 따라 서혜부로 나와서 음모의 주위를 환요하고 횡향하여 관관절속으로 진입한다.
또 다른 직행(直行)하는 일조분지는 쇄골상와에서 하향(下向 )하여 액부에 이르러 흉측을 따라 계늑부를 지나서 족궐음간경의장문(章門 )을 교회 한후, 또 족태 양방광경의 상료, 차료와상교하고 하향하여 관관절부위에서 회합한다.

여기서 하향하여 대퇴바깥족을 따라 슬관절의 외측(外側)으로 나와서 아래로 비골의 전면에 분포되며, 다시 직하 (直下) 하여 비골하단의 절골부위에 도달한다. 다시 외과의 앞으로 내려가 족배(足背)의 상면을 따라서 네번째발가락 즉 제4지외측말단의 규음혈에서 끝난다.

또 다른 하나의 분지는 족배상에서 분출하여 제1~2중족골 사이를 따라 엄지발가락 즉 무지의 말단으로나오고, 되돌아와서 무지갑을 관통하여 무지상의 총모부 즉 털이 난 부위에 분포한다.

나. 담경의 해설

1). 담경은 담계통과 측두, 견갑, 협근, 측복, 하지 외측 등 주로 인체의 측면 병과 관절부의 질병을 다스리며 음실증의 기능을 조절한다.

2). 담은 고전에서 청정 지관이라고도 했으며, 모든 장기를 감시하고 모든 결단을 담에서 취한다고도 했다.
그리고 간. 담은 음양 표리 관계로 상호간에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간허는 담실, 담허는 간실로 나타나고 있다. 실한 경맥에서는 반응점이 나타난다.

3). 담경의 적응증
담낭은 간장의 하면의 담당고에 끼어 있는 가지 모양의 주머니인데 담즙을 잠시 저장하고 농축한다.
이 담즙을 옮기는 담낭관은 간장에서 오는 총간관과 합쳐서 총담관이 되고, 췌장에서 나오는 췌관과 합류하여 12지장의 대12지장 유두에서 개구한다.
담즙은 간장에서 1일에 500∼1,000 ㎖정도 분비되고 담낭에 저장된다 알칼리성이며 그 맛은 쓰다 성분은 수분과 담즙 염산과 담즙 색소이다. 담즙의 작용은 담즙 염산에 의해서 지방을 유화하고 그 소화를 돕는다

* 담로(담도)
간장에서 생산. 분비된 담즙을 십이지장에 옮기는 관이다. 간소엽 안의 모세담관에서 시작되어 소엽간담관 → 간관 → 총간관 → 담낭관 → 총담관(길이는 6 - 8cm정도, 직경 1 cm정도) →대12지장 유두로 이어진다.
담로와 담낭에는 담즙의 성분으로 돌이 만들어져 이 담석 때문에 심한 통증이 일어난다, 그리고 담의 배설이 잘 안되면 황달이 생긴다.
고전에서는 담에 대해서 중정지관이며 결딴을 내린다 하고, 모든 장부는 담에서 그 결딴을 얻는다고 하였다.

다. 담경의 허실 구별

1. 담허는 간실에서 구별하고 담실은 다음과 같다.

1. 일월, 담유, 풍지, 견정, 구허, 양보, 임읍에서 압통.
2. 실하면 기가 역하여 궐하여 지고 허하면 발이 오므라들고 연약하여 일어설 수 없다.
3. 제 4지, 3지의 상처.

2. 담경의 허실 증상

1). 담이 실한 경우
담실은 음실증에 속하며, 간허증에 속한다.
편두통, 견갑통(견정의 과민 압통점의 경우),늑간 신경통, 좌골 신경통, 우측 발목이 삐었을 경우, 관절염(루머티즘은 제외), 요통, 담석통, 근육통, 다면정, 특히 모든 통증과 음실증 중풍이나 전신 마비, 백내장등

2). 담이 허한 경우
담허는 좌측에 있어서는 양실증이 많으며, 우측의 경우에서는 허한 경향이 많다.
또한 담허는 신실에 해당된다. 불면증, 황달, 소화불량, 신경쇠약, 신경과민, 담력이 약하고 결단력이 부족한 것, 우측의 모든 통증, 우측 발목이 삔 것, 저혈압, 피부가 거친 것, 두드러기, 팔다리 저린 것 등이다.

2. 담경의 임상요혈과 44혈

가. 담경의 임상 요혈

동자료(瞳子店) = 모든 눈병, 두통, 강자극은 피한다. 특히 출혈에 주의.
청회(聽會) = 상치통, 구안 괘사, 불면증, 눈병.
함염(稟厭) = 맥진처, 두기(頭氣)의 진찰, 측두통.
곡빈(曲) = 구안 괘사(口眼?斜), 중풍, 고혈압, 귀 눈병.
두규음(頭竅陰) = 신경성 병, 후 두통 이통(耳痛), 불면증.
완골(完骨) = 신경성 병, 후 두통, 이통(耳痛), 불면증.
양백(陽白) = 전 두통, 눈병, 구안 괘사.
두임읍(頭臨位) = 전 두통, 눈병, 구안 괘사, 견통, 신경성 병, 정신병.
목창(目窓) = 목병(目病)의 요혈, 두통, 코병.
뇌공(腦空) = 후 두통, 두통, 뇌질환, 로병(勞病) 등.
풍지(風池) = 모든 풍병, 정신 및 신경성 병, 견병, 혈압병.
견정(肩井) = 담실의 진찰처, 견병(肩病), 빈혈증, 유병(乳病), 중풍.
일월(日月) = 담(膽)의 모혈(募穴), 진찰과 신병의 요혈.
경문(京門) = 신(腎)의 모혈(募穴), 신병의 요혈.
대맥(帶脈) = 대요통(帶要痛)의 요혈.
거료(居店) = 대요통(帶要痛)의 하체 측병, 변비, 맹장염.
환도(環跳) = 하지통의 요혈, 중풍, 혈압병, 반신불수, 하지 신경통의 요혈.
풍시(風市) = 하지통의 요혈, 중풍, 혈압병, 반신불수, 하지 신경통의 요혈.
족양관(足陽關) = 족한병(足寒病)의 요혈, 한병(寒病)의 요혈.
양릉천(陽陵泉) = 슬병(膝病), 모든 근병, 하지통, 측병(側病).
외구(外丘) = 담의 급성병을 주치, 하지병.
광명(光明) = 락혈(絡穴)
양보(陽輔) = 형화혈(熒火穴) 담을 사(瀉)하는 요혈, 담실의 요혈.
현종(縣鐘) = 수회(髓會), 모든 골수병, 빈혈, 변비, 원기허약, 중풍예방, 반신불수 등.
구허(丘墟) = 원혈(原穴), 원기를 조절
족임읍(足臨立) = 유목혈(兪木穴), 담목의 대표혈로서 다른 장기병을 치료할 때에 이용. 요통, 대맥병의 요혈.
지오회(地五會) = 발등이 아플 때에 사용.
협계(俠谿) = 영수혈(榮水穴), 담을 보하는 요혈.
족규음(竅陰) = 정금혈(井金穴), 급성병 등에 출혈, 담의 허실기능을 조절한다.

나. 담경의 44혈

혈명

부위

공통증

특효증

1.동자료(瞳子店)

외안각(외안각의 외방 약 1.5cm 뼈의 함몰부)

눈 녹내장, 침침함(각막 백반)

2.청회(聽會)

귀앞(이주 밑 앞쪽, 하악골의 뒤쪽, 입을 벌리면 함몰하는 곳) ☆ 귀와 이의 아픔

 

3.객주인(客主人)

귀앞(협골궁의 중앙부 위쪽)

귀, 눈, 입의 질병

두통, 안면 신경마비

4.함염(稟厭)

옆머리(액각발제의 후두, 두유 혈의 밑 약 3cm)

귀울림, 녹내장, 편두통

5.현로(懸)

옆머리(액각발제의 후두 앞혈의 밑 약 3cm)

안면열감(감기), 눈 충혈, 치통, 두통

6.현리(懸釐)

옆머리(액각발제의 후부, 현로 혈의 밑 3cm)

위와 같음

열병한불출

7.곡빈(曲)

옆머리(협골궁의 상방 3cm)

위와 같음

안질, 치통

8.솔곡(率谷)

옆머리(귀 위쪽 발제내 4.5cm의 함몰부)

위장 증상, 고혈압, 숙취, 구토, 어지러움, 위냉증

9.천충(天衝)

옆머리(귀 뒤쪽 발제에서 상방 6 cm 점의 약 1cm 앞쪽)

정신착란, 편두통. 치주염

10.부백(浮白)

뒷머리(천충혈 후하방 3cm)

치통, 두통

열성병, 고혈압, 저혈압

11.두규음(頭竅陰)

뒷머리(유상 돌기 기저의 함몰부)

위와 같음

12.완골(完骨)

뒷머리(유상 돌기 뒷쪽, 돌기 첨단과 유돌절흔의 중앙)

안면 신경마비. 신경쇠약, 편두통

후두, 경부 굳음

13.본신(本)

앞머리(신정혈 외방 9cm)

뇌 신경계 질환, 두통, 어지러움, 후두부 긴장

소아 경련

14.양백(陽白)

이마(눈썹 중앙의 상방 약 3cm, 동공의 직상)

졸음 방지

15.두임읍(頭臨位)

앞머리(동공의 직상, 발제내 1.5cm)

눈, 코의 질환, 축농증

뇌출혈, 인사불성

16.목창(目窓)

앞머리(임읍혈의 후방 3cm)

면종, 눈, 두통

17.정영(正營)

앞머리(동공 직상의 선, 목창 혈의 후방 3 cm)

치통, 편두통

18.승령(承靈)

뒷머리(동공의 직상선. 정영혈 후방 4.5cm)

뇌풍(마비, 경련, 어지러움), 두통

코피, 천식

19.뇌공(腦空)

뒷머리(승령혈 후방 4.5cm, 상한선의 직상부)

뇌풍(뇌척수 질환), 목줄의 긴장과도, 후두격통

귀울림

20.풍지(風池)

목줄(뇌공 혈의 하방발제, 승모근과 흉쇄유돌근의 기시근간의 함몰부)

머리, 뇌신경 질환 일반

축농증, 귀울림

21.견정(肩井)

어깨(제 7 경추극돌기와 견봉과의 중앙, 유두선상)

뇌, 폐결핵

부인 난산, 요통, 견통(감기), 과로

22.연액(淵液)

옆구리(겨드랑 중앙(극천혈)에서 하방 9cm의 늑간)

흉막염, 폐렴, 기관지염

늑간 신경통, 가래톳(겨드랑)

23.첩근(輒筋)

옆가슴(극천혈에서 하방 9cm, 연액혈 앞 3cm)

위와 같음

늑간 신경통

24.일월(日月)

윗배(筋) (제 9 늑연골 부착부의 밑쪽, 기문혈 밑 15cm)

신경쇠약, 히스테리, 심기증

위, 간장 질환

25.경문(京門)

옆허리(제12늑골 선단의 밑쪽)

방광염, 소변적 , 혼탁, 상염, 요통

26.대맥(帶脈)

옆배(제11늑골 선단, 장문 혈의 하방 5.4cm)

급, 탄성 부인병(자궁내막염. 대하, 경련, 생리 불순)

27.오추(五樞)

옆배(대맥혈 내하방 9 cm,상골릉 따라 하복부 쪽으로)

위와 같음

고환염, 부고환염

28.유도(維道)

옆배(장문 혈에서 16cm,오추혈 밑 1.5cm)

구토, 식욕부진

29.거료(居店)

옆배(상전장골극의 봉공근 부착부의 뒷쪽, 대퇴근 막장근의 부착부의 함몰부)

요통, 소복통. 가슴 , 손의 경련

30.환조(環跳)

대퇴 관절(고관절부. 대전자 전방)

호흡기 (늑막염)

고관절 류마티스. 신경통, 중풍성 운동 마비

31.풍시(風市)

 

 

32.중독(中瀆)

대퇴(대퇴 외측, 무릎위 15cm,근육 사이의 함몰부)

족부통

반신불수, 각기, 슬 관절염

33.족양관(足陽關)

무릎(대퇴골 외측 상과의 위쪽 함몰부

류마티스, 슬 관절염

34.양릉천(陽陵泉)

하퇴(하퇴 외측. 무릎 밑 3cm함몰부)

면종, 늑막염

다리 질환 전반, 족냉, 고혈압

35.양교(陽交)

하퇴(하퇴 외측, 외복사뼈 상방 21cm,복사뼈는 정점에서 잰다)

면종, 편도염, 늑막염(호흡기, 슬통, 놀램, 신경쇠약)

36.외구(外丘)

하퇴(외복사뼈 상방 21cm, 양교 혈의 앞 1cm)

호흡기(미열-경항통(목줄), 광견병

37.광명(光明)

하퇴(외복사뼈 상방 15cm,양교혈 직하)

열병한불출, 족외측통 마비

38.양보(陽輔)

하퇴 (외복사뼈 상방12cm, 양릉천 직하 선상에서 전방 1 cm)

편도염, 가래톳(겨드랑)

전신관절통, 족병

39.현종(縣鐘)

하퇴(외복사뼈 상방 양릉천 선상)

고혈압, 치루, 코피, 목줄 굳음

반신불수(뇌출혈), 위염

40.구허(丘墟)

발목(바깥 복사뼈 하단에서 1cm전방 함몰부)

눈의 침침함, 늑. 흉막염

위염통, 위경련, 류마티스

41.족임읍(足臨立)

발등(제4, 제5중족골저 사이의 함몰부 골 접합부)

월경불순, 가래톳

유선염, 심장병, 위통. 담석선통

42.지오회(地五會)

발등(제 4, 제 5중족골 사이의 함몰부, 협계혈 뒤 3Cm)

호흡기(흉통, 각혈)

유선염

43.협계(俠谿)

발등(제 4지, 제 5지기 절골저 사이, 제 4중족 지절관절 안쪽 앞)

흉막염, 폐결핵, 열병한불출

감기

44.족규음(竅陰)

발가락(제 4지 외측, 발톱 뿌리 외방 3 mm)

흉통, 기침(해수)

두통, 수족번열(煩熱)

'동양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医推拿保健 及减肥培训班  (0) 2009.11.10
12. 足闕陰 肝經  (0) 2009.11.08
10. 手小陽 三焦經  (0) 2009.11.08
9. 手厥陰 心包經  (0) 2009.11.08
8. 足少陰 腎經  (0) 2009.11.08
Posted by 동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