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足闕陰 肝經

동양의학 2009. 11. 8. 20:49

12. 足闕陰 肝經(LR)[Liver Meridian](五行屬性 : 木性)

족궐음간경의 순행[足厥陰肝經流注]

족궐음경맥은 엄지발가락의 털이 난 곳(대돈혈)에서 시작하여 발잔등 윗쪽(밑마디 앞은 행간혈, 밑마디 뒤는 태충혈)으로 올라가 안쪽 복사뼈에서 아래로 1치 되는 곳(중봉혈)을 거쳐 안쪽 복사뼈에서 위로 8치 되는 곳으로 올라가 족태음경의 뒤로 교차된다.
계속 무릎 안쪽(곡천혈)으로 올라가서 허벅지를 따라 음모 있는 곳으로 들어갔다가 생식기를 돌아서 아랫배로 올라가 위를 끼고 간에 속하고 담을 얽었다.
그리고 가름막을 뚫고 올라가 옆구리에 분포되고 울대 뒤쪽을 따라서 올라가 입천장을 거쳐 목계(目系)에 연계되었다.
다시 이마로 나와서 정수리로 올라가 독맥(督脈)과 연계되었다.
그 한 가지는 목계에서 뺨 속으로 내려가 입술 안쪽을 돌렸다.
다른 한 가지는 다시 간에서 갈라져서 가름막을 뚫고 올라가 폐로 들어갔다(여기서 수태음경과 연계된다).

○ 시동병(是動病)은 허리가 아파서 굽혔다 폈다 하지 못하고 남자에게는 퇴산(퇴疝)이 생기고 여자에게는 아랫배가 붓고 심하면 목이 마르며 얼굴이 때가 낀 것처럼 윤기가 없어진다. 이것은 주로 간과 관련된 병이다.

○ 소생병(所生病)은 가슴이 그득하고 구역이 나며 설사하고 호산(狐疝), 유뇨(遺尿), 오줌이 막히는 등 증상이 생긴다. 실할 때에는 촌구맥이 인영맥보다 2배나 크고 허할 때에는 촌구맥이 인영맥보다 도리어 작다[영추].

이 경맥의 경기는 축시(1-3시)에 규음혈에서 시작하여 대돈혈에서 교체되며 무릎과 허벅지를 따라서 올라가 기문혈에 가서 끝난다[입문]. 족궐음간경은 대돈혈에서 시작하여 옥영혈(玉英穴)에 몰리고 단중혈(단中穴)과 연계되었다[영추].

主治 : 生殖器疾患, 腸疾患, 眼疾患, 血, 精神系, 膽疾患, 筋肉疾患, 胸脇疾患, 肝經은 姙娠婦가 피해야 할 經絡이다.

1. 간경의 순행과 해설 및 허실구분

가. 간경의 순행

족궐음간경은 족무지 외측지 갑각 뒤쪽에서 시작하여 상향해서 발등을 따라 내과전 1치되는 부위에 이른다.

다시 상향 족태음비경의 삼음교혈을 교회하고, 내과상 8치부위에서 다시 족태음비경과 교차하며 비경의 후면으로 행한다.
그리고 슬내연에 이르고 대퇴 내측을 따라 복부로 진입 족태음비경의 충문, 부사를 교회하고 하행 음모부위에 분포한다.
생식기를 환요하고 상향 소복으로와 임맥의 곡골, 중극, 관원등을 교회하고 위를 끼고 올라와 간에 통속하고 담에 연락된다.

다시 향하여 횡격막을 통과하여서 맥기가 혈늑복위에 분포된다.
그후 기관, 후두의 후면을 따라 더 위로 인두부로 진입하고 상악을 지나 눈까지 올라와 눈의 주위조직에 연접된다.

다시 상향하여 전액부(이마)에 분포되고 또 독맥과 두정부에서 회합한다.
일조분지는 눈에서 하향하여 면협을 거쳐 입술에 도달, 입술을 환요 한다.

또다른 일조분지는 간에서 분출하여 횡격막을 통과해서 폐에 분포한다.

나. 간경의 해설

1) 간경은 간장과 간계, 근계, 신경성, 정신 계통의 기능을 조절한다.

2) 간은 영양분을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 공급하기도 한다.
또한 인체의 모든 열은 근과 간에서 발생되어지는 것이므로 고전에서도 음중지양이라고 하였던 것이며, 양실증의 대표적인 장이기도 하다.

간에서 울(鬱)혈이 되면 근계통에 피로 물질이 축적되어 피로하여지고, 근이 굳어지고 응결되는 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또한 간경 계통의 맥이 불통되면 통증이 발생하고 신경과민 등의 복잡한 병증상이 일어난다.

사람이 가만히 누워 있으면 전신의 혈액이 간장에 모여들고, 일어나서 활동하면 간의 혈액이 수족으로 흩어져 수족을 움직이며 펼 수 있고, 사물을 눈으로 볼 수 있다고 했다.
이것으로 보아 간이 허약하면 허약이 부족하기 때문에 자주 드러누워 전신의 혈액을 간으로 모이게 하려는 생리적 습관도 생긴다.
그런 반면 간에서 울(鬱)혈이 되거나 혈액의 양이 많아지면 그 혈액을 전신으로 흩어지게 내보내고 불면증이 오거나 답답하고 신경이 과민하며, 자꾸 돌아다니고 활동을 하려고 한다.
또한 간장은 극히 복잡한 구조를 갖고 체내의 에너지를 유지, 공급하면서 심, 신의 기능을 조절하고도 있다.

3) 간경과 담경은 음양의 표리 관계를 갖고 있어서 상호간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
간허는 담실로서 반응이 나타나고, 담허이면 간실로서 반응이 나타난다.

4) 간경의 적응증
간장은 복강의 우상부에서 횡격막의 바로 밑에 있다.
암적 갈색으로 무게는 약 1.2kg이나 되어 인체 중에서 가장 큰 장기이다.
간세포가 모여 간소엽을 이루고, 간소엽이 모여 간장의 실질을 형성한다.
간의 작용은 인체의 화학 공장처럼 작용한다, 위와 장에서 흡수된 물질은 문맥에 의해서 간장으로 옮겨 처리된다.
간장의 작용은 비장에서 파괴된 적혈구를 재료로 하여 담즙을 만들어 분비하고, 12지장으로 보내어 지방의 소화를 돕는다.
그리고 글리코겐의 합성, 저장, 분해를 한다. 혈당이 많을 때는 글리코겐을 저장해 두고, 혈당이 부족하면 포도당으로 변화시켜서 피 속으로 내보낸다.
고전에서의 간은 혈을 저장하며, 장군지관이고, 모려가 나온다고 하였다.
또한 간은 근, 목, 신경성 질환, 생식기 등을 다스린다.

다. 간의 허실 구별

1. 간허는 담실 에서 구별하고, 간실은 다음과 같다.
1. 예구 압통
2. 실하면 산기, 고환이 붓는다. 음이 굳는다. 허하면 음부가 가렵다.
3. 기문의 통증
4. 행간, 중봉의 통증
5. 간유의 압통, 중완. 천추의 압통, 신실의 반응
6. 눈의 피로, 눈물, 노기, 신경과민 등도 간실이다.

2. 간의 허실 증상
1). 간실증
좌측에 있어서는 양실증이 되며, 우측에 있어서는 음실증이 된다.
신경과민, 불면증, 두통, 울로, 눈이 잘 안 보이는 것, 안 충혈(눈이 빨간 것), 모든 신경성인 것, 소화불량, 위산과다, 설사, 심통, 구역질, 식욕부진, 피로감, 간염, 간경화, 수족에 쥐나는 것, 현기증, 황달, 버거씨병, 알콜중독, 약물중독, 간농양, 상기, 중요통, 중풍의 시초, 구안와사 등에 대단히 좋다.
특히 부인병과 생식기병에도 좋으며, 간실이면 담허이다.
2). 간허증
간허증은 음실증이며 주로 우측으로 많이 발생된다.
따라서 右手를 쓰는 경향이 많다. 빈혈, 다면증, 편두통, 모든 신경통, 특히 삼차 신경통, 간질, 정신병, 수족 경련, 복통, 폐렴, 심한 해수 등에 좋으며, 간허는 담실에 해당된다

2. 간경의 임상요혈과 13혈

가. 간경의 임상 요혈

태돈(太敦) : 정목혈(井木穴), 구급 요법, 급성병에 출혈, 생식기병, 부인병, 간병.
행간(行間) : 형화혈(熒火穴), 간열(肝熱), 간화를 제거, 눈병, 생식기의 염증.
태충(太衝) : 유토혈(兪土穴), 원혈, 사관혈중의 1혈, 기혈을 크게순환.
중봉(中封) : 경금혈(經金穴), 간병을 조절, 특히 간실에 이용.
예구( : 락혈(絡穴), 이기(利氣), 성욕증진에 이용.
중도(中都) : 극혈(隙穴), 간의 급성병에 이용.
슬관(膝關) : 슬 관절통에 이용.
곡천(曲泉) : 간을 보한다. 특히 하복병과 생식기병에 사용.
장문(章門) : 비의 모혈(募穴)로 이용된다.
기문(期間) : 간의 모혈(募穴), 기침, 천식, 흉륵병(胸肋病), 근통(筋痛).

나. 간경 13혈

혈명

부위

공통증

특효증

1.태돈(太敦)

엄지끝(엄지발톱 뿌리 외측 1mm)

요도염, 고환염, 자궁 탈출, 발기 불능

인사불성, 강쇼크

2.행간(行間)

발가락(제 1지 . 제2지 기절골저 사이, 중족 지절관적안, 적백육의 경계)

생식기(음부 냄새), 방광

소아 경련, 구토, 늑간 신경통

3.태충(太衝)

발등(제 1제2중족골저 사이. 행간혈 후 6 cm, 박동부)

월경 과다 자궁병

담석, 구토. 흉막염, 늑간 신경통

4.중봉(中封)

발목(안 복사뼈 전방 1.5cm함몰부)

고환염, 고환복입(腹入), 방광염, 요도염

허리삠

5.예구(垣)

하퇴(안 복사뼈(정점) 상방 l5cm.정강뼈 내측면 뒤쪽에서 약 9mm전방)

부인병(적백대하, 생리 분순), 방광염, 방광 마비

6.중도(中都)

하퇴(안 복사뼈 상방 21cm, 정강이뼈 내측면 뒤쪽에서 약 8mm전방)

남녀 생식기병

소화기 (장염, 궤양)

7.슬관(膝關)

하퇴(독비혈의 하방 6 cm점에서 후방으로 선을 그어 곡천혈 직하6cm)

인후통

슬 관절통, 류마티스

8.곡천(曲泉)

무릎(슬 관절을 구부려 슬와의 옆주름 내단)

요도염, 임질, 자궁 탈출, 음낭수종

시력 감퇴, 어지러움, 몽정

9.음포(陰包)

대퇴(대퇴내측 대퇴골 내측 상과의 상방 12cm,봉공근과 박근 사이)

생리 불순, 방광 신장 질환

소변란, 요통, 소복통

10.족오리(足五里)

대퇴(대퇴 내측강부, 기충혈 하방 9 cm)

방광염, 신장염

신장결석, 중풍(반신불순)

11.음렴(陰廉)

대퇴(대퇴내측 상부, 기충혈(위경)하방 6 cm,대퇴 동맥의 박동부)

불임증, 유산(습관성)

12.급맥

13.장문(章門)

옆가슴(제11늑골 선단 바로 밑)

자궁 경련, 장뇌조, 복막염

늑간 신경통, 사지 권태

14.기문(期間)

옆가슴(제 9늑연골 부착부 직하, 유두선에서 약간 내측)

생리 불순, 자궁내막염

담낭염, 당뇨병, 복막염, 간장병

Posted by 동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