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手厥陰 心包經(PC)[Pericardium Meridian](五行屬性 : 相火)

수궐음심포경의 순행[手厥陰心包經流注]
수궐음경맥은 가슴속에서 시작하여 심포(心包)에 속하고 가름막을 뚫고 내려가 3초를 얽었다. 그 한 가지는 가슴을 지나 옆구리로 나와 겨드랑 아래 3치 되는 곳으로 나왔다가 다시 겨드랑이로 올라가 팔죽지를 따라서 수태음경맥과 수소음경맥의 사이를 따라 팔굽(곡택혈) 속으로 들어간다.
계속 팔뚝을 따라 내려와 두 힘줄 사이에 있는 간사혈과 손목의 대릉혈을 거쳐서 손바닥 가운데(노궁혈)로 들어가서 가운뎃손가락 끝(중층혈)으로 나갔다. 다른 한 가지는 손바닥 가운데에서 약손가락 끝으로 나갔다(여기서 수소양경맥과 연계됐다).

○ 시동병(是動病)은 손바닥이 달고 팔굽과 팔뚝이 저리며 당기고 겨드랑이가 붓고 심하면 가슴과 옆구리가 벅차며 가슴이 몹시 뛰고 얼굴이 붉으며 눈이 누렇고 자주 원인 없이 웃는다.
이것은 주로 맥과 관련되는 병이다. 소생병(所生病)은 가슴이 답답하고 아프며 손바닥이 단다. 이 경맥의 기가 실할 때에는 촌구맥이 인영맥보다 배나 크며 허할 때는 촌구맥이 도리어 인영맥보다 작다[영추].
○ 이 경맥의 경기는 술시(19~21시)에 유부혈에서 시작하여 천지혈에서 교체되어 팔과 손을 따라서 아래로 내려가 중충혈에 가서 끝났다[입문].
○ 심은 5장 6부에서 가장 주되는 장기이며 정신이 있는 곳이다. 심은 든든하여 사기가 잘 들어가지 못하는데 만일 사기가 들어가면 심이 상하고 심이 상하면 정신이 없어지며 정신이 없어지면 죽는다. 그러므로 모든 사기가 심에 있다는 것은 곧 심포락(心包絡)에 있다는 것이다. 심포락은 심주(心主)의 맥이다. 그러므로 심경만 유혈이 없다. 이밖의 경맥들은 나가고 들어가는 것, 구부러진 것, 돌아가는 속도가 뜨고 빠른 것이 다 수소음심경과 같다. 그러므로 『두한경』의 공혈방통도(孔穴傍通圖)에는 심경이 소충(少衝), 소부(少府), 신문(神門), 영도(靈道), 소해(少海)로부터 시작한 것으로 하지 않고 중충, 노궁, 대릉, 간사, 곡택에서 시작한 것으로 한 것을 보면 능히 알 만하다[강목]
.

主治:胸心胃病,精神疾患,發熱性疾患

1. 심포경의 순행과 해설 및 허실구분

가. 심포경의 순행
수궐음심포경맥은 흉중에서 시작하여 우선 심포에 통속하고, 향하 횡격막을 통과하여 상, 중, 하의 삼초와 연락된다.
일조분지는 흉부를 따라 천출하여 옆구리 즉 협늑에 분포하고, 액하의 3치부위에 이르러 또 상향하여 액좌하면에달한후, 상완 안족을 따라 수태음폐경과 수소음심경의 중간에 분포되며, 주와의 중앙으로 진입된다. 하향하여 전완에 이른다.
전완의 장장근건과 요측완굴근건의 중간을 주행하여 손바닥 속 즉 수장중로 진입한다음, 중지 내측을 따라 중지의 끝 중충에서 끝난다.
또 다른 일조분지는 손바닥 속의 노궁에서 갈라져 무명지 척측을 따라 무명지 즉 네째손가락 끝까지 연장된다.

나. 심포경 해설
1) 심포경은 심경에 대하여 상화의 경락으로 모든 심장 계통의 질병과 순환기계 병을 조절한다.
2) 심포경은 삼초경과 음양 표리의 관계를 갖고 있고 서로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 삼초허의 반응은 심포경에서 나타나고, 심포허의 반응은 삼초실에서 나타난다
3) 적응증
심포는 상화로서 심병을 보조해 주는 기관이다. 고전에서는 심은 군주지관이므로 심병일 때는 먼저 심포를 치료하고, 그래도 되지 않으면 심경맥을 치료하라고 되어 있어서, 심병의 주요 치료 경락이므로 심주라고도 한다.
또 심포는 희락의 즐거움이 나오는 곳이라고도 한다. 실제는 심포라는 장기는 없으나, 대체로 심낭, 심장 주위의 대동 정맥이나 관상동맥 (심장 자체 영양 혈관)이라고 하나, 어느 것이 정확한 것인지 확실치 않고, 분명한 것은 심병을 치료하는 것이다. 따라서 모든 적응증도 심장과 대동소이하다.
① 심, 소장의 병
② 삼초계통의 병
③ 정신병, 희락의 병
④ 심, 흉, 복부병
⑤ 폐병, 한열병, 흉통, 횡격막 질환에 이용한다.
⑥ 혈액순환 장애, 혈압병, 중풍 등에 이용.
⑦ 심경과 대동소이하다.

다. 심포의 허실 구별

1. 심포허는 삼초허에서 구별하고, 심포실은 다음과 같다.
① 단중의 압통.
② 태릉, 내관, 간사, 곡택의 통증
③ 궐음유, 고황의 압통
④ 양실증의 반응
⑤ 제2지와 중지의 상처
⑥ 대략 좌병은 심실이 많고, 우병은 심허가 많다.

2. 심포의 허실 증상
1). 심포 실증
심포실은 양실증으로서 심실증과 거의 비슷하다. 그리고 심포실 삼초허이다. 특히 이것은 극심한 심통, 협십증, 제 4~5흉추 부근의 통증, 정신적으로 충격을 받는 다던가 두통, 고혈압, 상충, 피로감, 동맥경화, 요통, 신경통, 디스크, 피부병 등등에 좋다. 심포실인 경우에는 양쪽 젖꼭지 중간의 단중혈에 과민 압통점이 발생된다.
1. 내관 압통, 단중의 압통.
2. 실하면 심통이 되고 허하면 심번증이 나타난다

2). 심포 허증
심포 허증은 신실증에 속하며, 심허증과 비슷하다. 삼초실 심포허이므로 배꼽밑의 2촌 되는 석문혈의 과민 압통이 삼초실 심포허이다. 심포허의 증상과 적용도 심허와 같다.

2. 심포경의 임상요혈과 9혈

가. 심포경의 임상 요혈

중충(中衡) : 정목혈(井木穴), 구급시에 출혈, 급성병에 사용, 심보, 심흉통.
노궁(勞宮) : 형화혈(熒火穴), 열병, 노병(勞病)에 이용, 피로의 요혈.
태릉(太陵) : 유토혈(兪土穴), 원혈, 원기를 조절, 사하는 혈, 심병의 주치혈.
내관(內關) : 락혈(絡穴)
간사(間使) : 경금혈(經金穴), 심(心), 흉(胸), 두(頭), 정신병, 심통.
극문(門) : 극혈(隙穴), 급성병에 주로 이용. 코피, 정신병에 이용.
곡택(曲澤) : 합수혈(合水穴), 고혈압, 중풍, 심병, 반신불수에 이용한다.
천지(天池) : 심포경이 끝나는 곳.

나. 심포경 9혈

혈명

부위

공통증

특효증

1.천지(天池)

가슴(제 4 늑간, 유두선 외방 3 cm)

심장성 질환

기관지염, 흉근통, 늑간 신경통

2.천천(天泉)

팔(상완 상부의 안쪽, 앞겨드랑 옆주름에서 곡택혈 쪽 6㎝)

심장, 폐, 기관의 가슴앓이

상완통

3.곡택(曲澤)

팔꿈치(주와의 안쪽, 상완 이두근 건의 안쪽)

심장

열성병

4.극문(門)

팔(전완 전면의 중앙, 안 손목 상방 15cm)

흉막염, 심계 항진

각혈(심, 폐, 비, 위)

5.간사(間使)

팔(안 손목 옆주름 중앙(대릉혈)의 상방 9cm)

심통, 협심증

정신이상(열병, 중풍),가래톳(겨드랑)

6.내관(內關)

팔(안 손목 옆주름 중앙의 상방 6cm)

심장, 실신

7.태릉(太陵)

팔목(주관절 전면(안 손목) 옆주름 거의 중앙부)

심장(호흡곤란, 흉통), 위장병

신열, 두통, 히스테리

8.노궁(勞宮)

손바닥(손바닥 거의 중앙, 제 3,4 중지의 함몰부)

심장성 질환

중풍(정신 흥분), 황달, 혈변, 소아경변

9.중충(中衡)

손가락(중지요측 손톱 뿌리 외방 3㎜)

심장성 질환(흉통)

정신박약

'동양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 足少陽 膽經  (0) 2009.11.08
10. 手小陽 三焦經  (0) 2009.11.08
8. 足少陰 腎經  (0) 2009.11.08
7. 足太陽 肪胱經  (0) 2009.11.08
6. 手太陽 小腸經  (0) 2009.11.08
Posted by 동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