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에 해당되는 글 13건

  1. 2009.04.24 적천수강의 안내
  2. 2009.04.24 알기쉬운 용신분석 안내
  3. 2009.04.24 알기쉬운 합충변화 안내
  4. 2009.04.24 알기쉬운 천간지지 안내

적천수강의 안내

명리 2009. 4. 24. 21:43

적천수강의 1권 소개-서론 941
1부 1318
2부-1장 통신송 1489
2부-2장 논천간-01 1169
2부-2장 논천간-02 1173
2부-2장 논천간-03 903
2부-3장 논지지 1441
2부-4장 간지총론-01 1434
2부-4장 간지총론-02 1072
3부-01 1193
3부-02 1165
3부-03 1307
3부-04 1252
3부-05 948

적천수강의 2권을 시작하며 1085
제5부 종화순역 - 제1장 從象 2130
제2장 化象 1527
제3장 假從 1465
제4장 假化 1464
제5장 順局 1557
제6장 反局(1) 1728
反局(2) 1409
제6부 - 제1장 體用 1487
제2장 精神 1532
제3장 月令 1523
제4장 生時 1523
제5장 衰旺 1604
제6장 中和 1402
제7장 源流 1471
제8장 通關 1527
제9장 淸濁 1605
제10장 眞假 1579
제11장 恩怨 1438
제12장 閑神 1424
제13장 羈絆 1431
제7부 사주총론 - 제1장 寒煖 1469
제2장 燥濕 1569
제3장 才德 1453
제4장 奮鬱 1551
제5장 隱顯 1453
제6장 震兌 1395
제7장 坎離 1424
제8장 强寡 1418
제9장 順逆 1474

제10장 運勢 1263
제8부 운세해석 - 제1장 大運 945
제2장 歲運 937
제3장 月運 957
제4장 日運 918
제5장 時運 827
제6장 年柱 - 부모의 운 (또는 조상의 운) 976
제7장 月柱 - 사회와 남편의 운 (또는 초년운) 975
제8장 日支 - 처운 (또는 중년운) 997
제8장 日支 - 처운 (또는 중년운) 967
제10장 用神운 - 大運 歲運의 접목 1031
제11장 忌神 - 대운 세운의 접목 969
제12장 閑神 - 무수한 변수를 품고... 862
제13장 開運 - 개운은 가능하다 866
제14장 因果 - 운세와의 공존 801
제15장 變數 - 올바른 해석에 틀린 결과라면... 959
제16장 結論 - 이제 운에 자유로우시기를.... 821
적천수강의 2권을 마치며 771

제9부 육친 - 제1장 夫婦 1977
제2장 子女 1932
제3장 父母 1472
제4장 兄弟 1442
제10부 부귀빈천 - 제1장 富 2031
제2장 貴 1801
제3장 貧 1989
제4장 賤 1401
제5장 吉凶 1530
제6장 壽夭 1596
제11부 성정질병 - 제1장 性情(1) 1813
제1장 性情(2) 1553
제2장 疾病(1) 1870
제2장 疾病(2) 1538
제12부 출신지위 - 제1장 출신(出身) 1752
제2장 地位 1575
제13부 여명소야 - 제1장 女命章(1) 1488
제1장 女命章(2) 1800
제2장 小兒章 1520
적천수강의를 마치며 1275

'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심리학2 안내  (0) 2009.04.25
사주심리학 안내  (0) 2009.04.24
알기쉬운 용신분석 안내  (0) 2009.04.24
알기쉬운 합충변화 안내  (0) 2009.04.24
알기쉬운 천간지지 안내  (0) 2009.04.24
Posted by 동봉
,

알기쉬운 용신분석 안내 1997
▶ 들어가는 말 1932
제1부 用神의 의미 2693
1. 용신의 의미 - 1) 글자로써의 용신 3403
2) 用神이 필요한 이유 3038
3) 용신은 찾는 것이지 정하는게 아니다 2972
4) 用神이 전부는 아니다 3052
5) 용신의 확대해석 2707
2. 抑扶用神의 이해 2459
1) 抑扶를 구분하기 위한 전초작업 2565
2) 强弱이 된 원인 분석 2488
3) 强도 弱도 아닌 사주라면... 2624
4) 抑扶의 예외(例外)는 없는가? 2038
3. 病藥用神의 이해 1948
1) 日干의 病藥用神 2243
2) 用神의 病藥原理 1915
4. 通關用神의 이해 1846
5. 調候用神의 이해 1891
6. 專旺用神의 이해 1723
1) 從格 2079
2) 化格 1752
7. 通氣用神의 이해 1603
제2부 용신격 연구 1731
1. 用神格에 대한 이해 2065
1) 用神格의 출현 1859
2) 用神格은 최신형이다 1927
2. 身强한 四柱 2224
1) 印星이 많은 경우 3094
2) 比劫이 많은 경우 2754
3. 身弱한 四柱 - 1) 食傷이 많아서 신약인 경우 2485

2) 財星이 많아서 신약한 경우 1793
3) 官殺이 많아서 신약한 경우 1571
4)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1541
5) 用神格의 마무리 1171
제3부 實戰 대입요령 1148
1. 사주풀이 순서 1592
1) 用神의 구조 분석 1689
2) 심리적인 분석 1555
3) 社會性의 대입 1519
4) 配偶者의 길흉 1582
5) 子女의 암시 1594
6) 기타 참고사항 1308
2. 실전 1 : 여명, 甲寅 戊辰 丙戌 甲午 1859
1) 용신의 주변 1997
2) 심리적인 구조 1396
3) 사회성 1320
4) 배우자 1460
5) 자녀 1212
6) 기타 1112
3. 실전2 - 女 : 戊戌. 壬戌. 壬申. 乙巳. 1348
1) 용신의 주변 1335
2) 성격의 영향 1150
3) 사회성 1062
4) 배우자 1166
5) 자녀 1067
6) 기타 1066
4. 실전3 - 男 : 壬辰. 癸卯. 癸亥. 壬子 1177
1) 용신의 주변 1144
2) 심리의 구조 1085
3) 사회성 1040

4) 배우자 944
5) 자녀 910
5. 실전4 - 女 : 辛巳. 壬辰. 丙申. 癸巳. 1074
1) 용신분석 1066
2) 성격구조 839
3) 사회성 829
4) 배우자 850
5) 자녀 829
6) 기타 826
6. 실전5 - 女 : 丙申. 戊戌. 丙辰. 乙未. 892
1) 用神의 주변 911
2) 성격의 주변 858
3) 사회성과 운세 816
4) 배우자 817
5) 자녀 805
6) 기타 817
7. 실전6 - 女 : 乙未. 己卯. 辛未. 庚寅. 862
1) 용신의 상황 855
2) 심리적 영향 808
2) 심리적 영향 820
3) 사회성 790
4) 배우자 815
5) 자녀 787
6) 기타 814
8. 실전7 - 男 : 丙子. 丙申. 壬戌. 庚戌. 831
1) 용신의 주변 836
2) 성격분석 828
3) 사회성 827
4) 배우자 852
5) 자녀 781

6) 기타 784
9. 실전8 - 女 : 壬子. 甲辰. 丁卯. 己酉. 844
1) 용신의 상황 841
2) 성격의 분석 788
3) 사회성 806
4) 배우자 823
5) 자녀 800
6) 기타 784
10. 실전9 - 男 : 庚戌. 乙酉. 丙申. 癸巳. 842
1) 용신의 주변 827
2) 성격의 주변 790
3) 사회성 804
4) 배우자 793
5) 자식 747
6) 기타 735
11. 실전 - 男 : 丙戌. 庚子. 乙酉. 辛巳. 824
1) 용신의 주변 818
2) 심리적인 구조 788
3) 사회성 792
4) 배우자 779
5) 자녀 728
6) 기타 736
12. 開運法 771
1) 기도와 참회 772
2) 개명(改名) 777
3) 직업 변경 805
4) 이사 790
5) 사람 선택(宮合) 817
6) 부적(符籍) 805
7) 기타 784

제4부 古典格局論 分析 739
1. 格局과 用神 821
1) 格局論은 음(靜)이고, 用神論은 양(動)이다 780
2) 분리될 수 없는 格局用神論 745
2. 格局論의 구조 828
3. 格의 종류(淵海子平 爲主) 777
4. 淵海子平을 바탕으로 格局分析 779
1) 羊刃格 829
2) 刑合格 782
3) 福德秀氣格 735
4) 雜氣財官格 773
5) 日貴格 764
6) 日德格 745
7) 日刃格 752
8) 魁罡格 824
9) 金神格 761
10) 時墓格 773
11) 正官格 763
12) 雜氣財官格 718
13) 月上偏官格 738
14) 時上偏財格 737
15) 時上一位貴格 789
16) 飛天祿馬格 - 1 789
17) 飛天祿馬格 - 2 740
18) 倒沖格 - 1 802
19) 倒沖格 - 2 736
20) 乙己鼠貴格 756
21) 六乙鼠貴格 762
22) 合祿格 - 1 732
23) 合祿格 - 2 824

24) 子遙巳格 724
25) 丑遙巳格 740
26) 壬騎龍背格 663
27) 井欄叉格 629
28) 歸祿格 628
29) 六陰朝陽格 625
30) 刑合格 616
31) 拱祿格 624
32) 拱貴格 580
33) 印壽格 699
34) 雜氣印壽格 547
35) 六壬趨艮格 575
36) 六甲趨乾格 588
37) 句陳得位格 560
38) 玄武當權格 653
39) 炎上格 706
40) 潤下格 721
41) 從革格 633
42) 稼穡格 736
43) 曲直格 627
44) 日德秀氣格 624
45) 福德格 728
46) 棄命從財格 513
47) 傷官生財格 730
48) 棄命從煞格 612
49) 傷官帶殺格 609
50) 歲德扶殺格 584
51) 歲德扶財格 597
52) 夾丘(拱財)格 616
53) 兩干不雜格 610

54) 五行具足格 752
55) 支辰一氣格 608
56) 天元一氣格 633
57) 鳳凰池格 (干支同體) 615
5. 格局論의 분석결과 753
제5부 四柱 밖의 消息 742
1. 子平命理의 限界 821
2. 예측이 빗나가는 이유- (1) 사주가 틀렸을 경우 836
(2) 용신이 틀렸을 경우 862
(3) 용신을 잘 잡고도 틀리는 이유 971
3. 운명이 변할 수도 있다 916
4. 다른 학문의 적중율? 823
제6부 이뭣꼬?(獨白) - 1. 朗月이도 三十榜이다! 859
2. 눈을 크게 뜨고서... 876
3. 이름도 지을 수 없는 한물건 880
나가는 말 817

'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심리학 안내  (0) 2009.04.24
적천수강의 안내  (0) 2009.04.24
알기쉬운 합충변화 안내  (0) 2009.04.24
알기쉬운 천간지지 안내  (0) 2009.04.24
알기쉬운 음양오행 안내  (0) 2009.04.24
Posted by 동봉
,

알기쉬운 합충변화 안내 1699
▶ 들어가는 말 1439
제1부 命式作成論 1915
1. 年柱 작성 2182
1) 年柱의 기준점 1872
2) 정확한 입춘시의 기준점은 대한민력(大韓民曆) 1814
3) 立春時는 서울표준? 동경표준? 1802
2. 月柱 작성 1774
1) 月柱의 기준점 1747
2) 윤월(閏月)은 어떻게 처리되는가? 1906
3. 日柱 작성 1757
1) 日柱의 기준점 1760
2) 夜子時가 발생한 연유... 1792
4. 時柱 작성 1725
1) 時柱의 기준점 1826
2) 30분 꼬리를 떼어버릴 수는 없나? 1945
3) 언제부터 꼬리를 달아야 하나? 1931
4) 언제 태어나셨소? 1914
5) 전 시를 전혀 모르는데요? 2505
5. 대운(大運)의 의미 2621
1) 命과 運의 차이 2367
2) 숙명을 바꿀 수 있다는데... 2249
3) 낭월식(?) 숙명바꾸기 2433
4) 운명은 어떨까? 2150
5. 대운(大運) 연구 3018
6. 소운(小運)의 이해 2326
7. 세운(歲運)의 이해 2347
8. “대운은 좋고 세운이 나쁘면?” 3034
9. 干支 위치의 명칭 2516
10. 이론과 실제의 사이에서 2290

제2부 신살론 1258
1. 신살에 대한 견해 1368
2. 神殺의 의미 1321
3. 神殺의 작용력 1356
4. 神殺의 등장배경 1105
5. 잡다한 神殺의 종류와 형태 1180
1) 십이신살(十二神殺) 1535
2) 원진살(怨嗔殺) - 만나면 시들하고 헤어지면 그립다 1565
3) 고신과숙살 - 홀아비나 과부가 된다 1473
4) 백호살(白虎殺) - 길에서 피뿌리고 죽는다 1448
5) 삼재살(三災殺) - 3년간 재수없다 1155
6) 괴강살(魁罡殺) - 타인의 우두머리가 된다 1692
7) 탕화살(湯火殺) - 끓는 물이나 불을 뒤집어 쓴다 1083
8) 십악대패살(十惡大敗殺) - 되는게 하나도 없다 1204
9) 상문살(喪門殺) - 초상날 일이 많다 1150
10) 조객살(弔客殺) - 초상집에 문상 갈 일이 많다 1013
6. 十二運星에 대해서 1184
(1) 십이운성의 의미 1245
(2) 불합리한 몇가지의 이유 1088
7. 공망 1541
8. 命宮 1187
9. 胎元 968
10. 기타신살에 대하여 874
1) 삼형살(三刑殺) 1350
2) 육파살(六破殺) 1008
3) 육해살(六害殺) 1078
4) 귀문관살(鬼門關殺) 1443
5) 그밖에 수두룩한 살들 1066
6) 살이 있음 풀어야지 - 살풀이 1248
제3부 합충변화론 1610

1. 간합, 남녀의 결합 1720
1) 干合 - 男女의 結合 1764
2) 合과 化의 이해 1542
3) 合의 유형 1496
4) 甲己合化土 1663
5) 乙庚合化金 1342
6) 丙辛合化水 1318
7) 丁壬合化木 1263
8) 戊癸合化火 1292
9) 干合의 주변 1332
2. 三合 - 父子孫의 合 (家庭의 合) 1381
1) 三合은 부자손합(父子孫合)이라고도 부른다 1370
2) 중요한 것은 가운데의 글자이다 1377
3) 生旺庫의 관계 분석 1248
4) 三合의 원리 1433
5) 合化의 變化 - 天覆地載와 天背地反 1193
3. 方合 - 朋合(친구들의 모임) 1181
1) 방합은 방위(方位)의 개념 1039
2) 合도 아닌데 化를 논해? 1061
4. 六合 - 도표상으로만 존재하는 허상(虛象) 1186
1) 子丑合土의 관계 1225
2) 寅亥合木의 관계 1095
3) 卯戌合火의 관계 1074
4) 辰酉合金의 관계 1056
5) 巳申合水의 관계 1071
(6) 午未合無化의 관계 1028
5. 暗合 - 어둠속의 사연 1414
1) 天干과 地支의 관계 1503
2) 地支와 地支의 관계 1390
3) 암합의 작용 1530

6. 沖剋 - 언발란스(unbalance) 1082
1) 충(沖)의 의미 분석 1309
2) 충(衝)의 의미 분석 1213
3) 천극지충(天剋地沖) 1334
4) 地支의 六沖 1376
7. 合沖의 정리 1064
1) 干合에서... 1019
2) 三合에서... 1039
3) 方合에서... 861
4) 六合에서... 916
5) 沖에서... 1091
8. 선전(旋轉) - 左右干支의 특수관계 965
1) 상순(相順) 910
2) 선전(旋轉) 853
3) 복음(伏吟) - 일명 천동지동(天同地同) 957
제4부 통근론 1095
1. 通根의 原理 1231
1) 통근의 등급 순서 1389
2) 通根이 되지않는 干支 1233
3) 통근의 변수(變數) 1195
2. 계절의 通根 1151
1) 계절이 갖는 무게 1214
2) 뿌리도 해로울 수 있다 1148
3. 透出은 무엇인가 1114
1) 격국론(格局論)의 뿌리인 月令透出 1161
2) 通根과 透出의 차이 1144
제5부 십성론- 1. 십성론을 시작하면서 1131
1) 十星의 명칭 1379
2) 十星의 구성 1336
3) 十星의 뜻 1560

2. 인간 주변의 十星 1075
1) 어머니 - 正印 1232
2) 아버지 - 偏財 1138
3) 처 - 正財 1165
4) 남편 - 正官 1066
5) 여자의 자식 - 食傷 1017
6) 남자의 자식 - 官殺 984
7) 형제 자매 - 肩劫 934
8) 시어머니 - 偏財 953
9) 시누이 - 偏官 892
10) 장모 - 食神 927
11) 사장 - 官殺 883
12) 종업원 - 偏財 888
13) 동업자 - 比劫 925
3. 육친궁(六親宮)의 대입 1123
1) 고전적인 宮의 대입론 1044
2) 새로운 宮의 이론 1106
4. 自然에서의 十星 885
1) 偏印 - 雨露 982
2) 正印 - 물, 공기 868
3) 比肩 - 土壤 858
4) 劫財 - 洞窟 859
5) 食神 - 植物 850
6) 傷官 - 動物 865
7) 偏財 - 山川 866
8) 正財 - 과일, 고기 854
9) 偏官 - 暴炎, 酷寒 840
10) 正官 - 日月 運行 853
5. 物質주변의 十星 807
1) 偏印 - 약품, 종교용품 842

2) 正印 - 음식물, 주택, 의류, 교육 867
3) 比肩 - 운동기구 825
4) 劫財 - 레포츠 용품 820
5) 食神 - 실험도구, 발명품 832
6) 傷官 - 오락기구 875
7) 偏財 - 지도, 설계도 773
8) 正財 - 화장품, 식도락 829
9) 偏官 - 위험물, 834
10) 正官 - 시계, 805
6. 精神 주변의 十星 813
1) 偏印 - 신비주의(神秘主義) 854
2) 正印 - 보수주의(保守主義) 810
3-1) 比肩 - 국수주의(國粹主義) 805
4) 劫財 - 이기주의(利己主義) 828
5) 食神 - 탐구주의(探究主義) 768
6) 傷官 - 낭만주의(浪漫主義) 817
7) 偏財 - 독재주의(獨裁主義) 797
8) 正財 - 물질주의(物質主義) 810
9) 偏官 - 법치주의(法治主義) 855
10) 正官 - 합리주의(合理主義) 815
7. 학과(學科) 주변의 十星 831
1) 偏印 - 종교학과, 철학과, 의과, 약학과 830
2) 正印 - 교육학과, 국문학과, 사학과, 유아교육과, 어문계열학.. 803
3) 比肩 - 체육과, 793
4) 劫財 - ??? 808
5) 食神 - 각종연구학과, 미래과학과, 미술학과, 작곡과, 문학과.. 796
6) 傷官 - 정치외교과, 성악과, 관광통역과, 무역학과, 807
7) 偏財 - 건축과, 토목과, 물리학과, 833
8) 正財 - 식품영양학과, 경제학과, 경영학과, 799
9) 偏官 - 무기공학과, 국방대학, 경찰대학, 경호과, 사관학교, 816

10) 正官 - 법과, 사회과학과, 832
8. 직업 주변의 十星 825
1) 偏印 - 宗敎, 易學, 약사, 의사 825
2) 正印 - 敎育者, 食堂 795
3) 比肩 - 自由業, 793
4) 劫財 - 賭博, 스포츠맨, 813
5) 食神 - 硏究員, 技術者 859
6) 傷官 - 言論人, 세일즈맨 823
7) 偏財 - 設計士, 自營業 807
8) 正財 - 金融界, 셀러리맨 819
9) 偏官 - 軍警, 冒險家, 스턴트맨 741
10) 正官 - 公務員, 740
9. 서적의 십성분류 719
1) 偏印 830
2) 正印 839
3) 比肩 805
4) 劫財 745
5) 食神 765
6) 傷官 836
7) 偏財 702
8) 正財 753
9) 偏官 799
10) 正官 818
10. 그림의 십성분류 798
1) 偏印 - 宗敎畵, 抽象畵, 想像畵 735
2) 正印 798
3) 比肩 799
4) 劫財 791
5) 食神 791
6) 傷官 833

7) 偏財 - 風景畵 810
8) 正財 - 人物畵, 靜物畵 801
9) 偏官 733
10) 正官 775
11. 영화의 십성분류 713
1) 偏印 - 스타워즈, 벤허, 오멘, 드라큐라, 715
2) 正印 - 리틀부타 792
3) 比肩 - 소오강호, 동방불패, 803
4) 劫財 - 도성, 스팅, 808
5) 食神 - 백투더퓨처 670
6) 傷官 - 터미네이터, 슈퍼맨, 피터팬, 의적홍길동 794
7) 偏財 - 꼬방동네 사람들, 삼국지 725
8) 正財 - 프렌치키스, 797
9) 偏官 - 쇼생크탈출, 나바론요새, 석양의 건맨 715
10) 正官 - 타워링, 난중일기 788
12. 컴퓨터의 십성분류 679
1) 偏印 - 개발 툴 805
2) 正印 - 데이타베이스 615
3) 比肩 - 컴퓨터 본체 532
4) 劫財 - 주변기기 603
5) 食神 - 워드프로세서 735
6) 傷官 - 게임 803
7) 偏財 - 설계용 프로그램 568
8) 正財 - 스프레드시트, 637
9) 偏官 - 백신, 유틸리티 770
10) 正官 - 운영체제, 798
마무리 하면서 834

'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심리학 안내  (0) 2009.04.24
적천수강의 안내  (0) 2009.04.24
알기쉬운 용신분석 안내  (0) 2009.04.24
알기쉬운 천간지지 안내  (0) 2009.04.24
알기쉬운 음양오행 안내  (0) 2009.04.24
Posted by 동봉
,

알기쉬운 천간지지 안내 1828
▶ 들어가는 말 1606
제1부 간지 일반론 2400
1장 전설따라 역사기행 < 천간지지편 > 2190
1장 천간지지의 정의 2476
1. 干支의 陰陽 2990
2. 干支의 결합(結合) 2647
3. 사주결합의 총 숫자는 과연 몇개일까? 2544
4. 쌍둥이의 사주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2566
5. 사주학을 비방하는 사람이 가라사대 2114
6. 간지의 결합(結合)이 어디까지 책임질것인가? 2212
7. 간지학(干支學-명리학)의 활용 2134
2장 十干의 特性 2009
1. 先天數의 원리와 십간의 원형(原形) 1959
(1) 一은 天地의 출발점이다. 2152
(2) 二는 열(熱)이 발생한다고 본다. 1780
(3) 三은 조절(調節)하려고 발생되는 기운(氣運)이다. 1661
(4) 四는 三을 견제하는 브레이크이다. 1610
(5) 五는 일차적(一次的)인 통일을 의미한다. 1641
(6) 六은 비로소 물방울이 발생한다. 1683
(7) 七은 빛이 생겼다고 본다. 1598
(8) 八은 생명체가 발생한다고 본다. 1554
(9) 九는 결실이며 성장억제로 작용한다. 1598
(10) 十은 토양이 생성된다고 본다. 1612
2. 後天數의 원리와 十干의 작용(作用) 1767
(1) 甲은 삶의 시작이다. 2324
(2) 乙은 목이 굳어진 것이다. 2120
(3) 丙은 폭발력이 강한 성분이다. 1986
(4) 丁은 구체화된 열기(熱氣)라고 본다. 1802
(5) 戊는 무성하다는 의미가 있다. 1870
(6) 己는 비로소 성장을 마친다. 1806
(7) 庚은 초벌수확기라고 본다. 1740
(8) 辛은 수확의 갈무리라고 보자. 1814
(9) 壬은 정신적인 승화(昇華)가 될것이다. 1803
(10) 癸는 마무리에 해당한다. 1782
3장 십이지지(十二地支)의 이해 1802
(1) 子는 동짓달에 해당한다. 2118
(2) 丑은 섣달에 해당한다. 1856
(3) 寅은 정월달에 해당한다. 1785
(4) 卯는 2월달에 해당한다. 1708
(5) 辰은 3월달에 해당한다. 1646
(6) 巳는 4월달에 해당한다. 1650
(7) 午는 5월달에 해당한다. 1660
(8) 未는 6월달에 해당한다. 1626
(9) 申은 7월달에 해당한다. 1612

(10) 酉는 8월달에 해당한다. 1259
(11) 戌은 9월달에 해당한다. 1041
(12) 亥는 10월달에 해당한다. 1083
제2부 십간 각론 989
1. 甲木 1160
(1) 첫 번째 천간 甲의 의미 1383
(2) 물질적(物質的)인 관점 1277
(3) 인간적(人間的)인 관점 1315
(4) 세계적(世界的)인 관점 1081
(5) 사주적(四柱的)인 관점 1425
2. 乙木 1053
(1) 두 번째 천간 乙의 의미 1080
(2) 물질적인 관점 1189
(3) 인간적인 관점 1107
(4) 세계적인 관점 997
(5) 사주적인 관점 1239
3. 丙火 1035
(1) 세 번째 천간 丙의 의미 1100
(2) 물질적인 관점 1057
(3) 인간적인 관점 1037
(4) 세계적인 관점 967
(5) 사주적인 관점 1194
4. 丁火 999
(1) 네 번째 천간 丁의 의미 1062
(2) 물질적인 관점 995
(3) 인간적인 관점 989
(4) 세계적인 관점 927
(5) 사주적인 관점 1154
5. 戊土 981
(1) 다섯 번째 천간 戊의 의미 1013
(2) 물질적인 관점 1017
(3) 인간적인 관점 1012
(4) 세계적인 관점 987
(5) 사주적인 관점 1142
6. 己土 944
(1) 己土의 세가지 의미 1048
(2) 물질적인 관점 959
(3) 인간적인 관점 937
(4) 세계적인 관점 932
(5) 사주적인 관점 1091
7. 庚金 976
(1) 일곱째 천간 庚의 의미 998
(2) 물질적인 관점 962
(3) 인간적인 관점 1020
(4) 세계적인 관점 994

(5) 사주적인 관점 1034
8. 辛金 951
(1) 매울 신의 의미 951
(2) 물질적인 관점 857
3) 인간적인 관점 898
(4) 세계적인 관점 821
(5) 사주적인 관점 968
9. 壬水 821
(1) 아홉째천간 壬의 의미 923
(2) 물질적인 관점 810
(3) 인간적인 관점 796
(4) 세계적인 관점 739
(5) 사주적인 관점 943
10. 癸水 813
(1) 열째천간과 생리적인 癸의 의미 830
(2) 물질적인 관점 850
(3) 인간적인 관점 839
(4) 세계적인 관점 807
(5) 사주적인 관점 919
3부 十二支 各論 987
0. 地支와 支藏干의 關係 1066
(1) 절기(節氣)에 대한 이해 1035
(2) 지장간의 월률분야(月律分野) 1189
(3) 지장간의 인원용사(人元用事) 1091
(4) 지장간이 혼란스러운 이유는? 1123
1. 子水 1003
(1) 상징성(象徵性) 1104
(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1050
(3) 지장간의 원리(原理) 1153
(4) 계절적(季節的)인 의미 (大雪~冬至) 1035
(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1144
2. 丑土 980
(1) 상징성(象徵性) 991
(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997
(3) 지장간의 원리(原理) 1073
(4) 계절적(季節的)인 의미 (小寒~大寒) 2380
(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1069
3. 寅木 953
(1) 상징성(象徵性) 962
(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898
(3) 지장간의 원리(原理) 1011
(4)계절적(季節的)인 의미 (立春~雨水) 984
(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973
4. 卯木 956
(1) 상징성(象徵性) 953

(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898
(3) 지장간의 원리(原理) 955
(4) 계절적(季節的)인 의미 (驚蟄~春分) 900
(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965
5. 辰土 898
(1) 상징성(象徵性) 952
(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921
(3) 지장간의 원리(原理) 973
(4) 계절적(季節的)인 의미 (淸明~穀雨) 939
(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963
6. 巳火 932
(1) 상징성(象徵性) 941
(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900
(3) 지장간의 원리(原理) 974
(4) 계절적(季節的)인 의미 (立夏~小滿) 877
(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924
7. 午火 887
(1) 상징성(象徵性) 967
(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845
(3) 지장간의 원리(原理) 830
(4) 계절적(季節的)인 의미 717
(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829
8. 未土 762
(1) 상징성(象徵性) 780
(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722
(3) 지장간의 원리(原理) 885
(4) 계절적(季節的)인 의미 - 내용무 587
(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894
9. 申金 733
(1) 상징성(象徵性) 748
(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669
(3) 지장간의 원리(原理) 819
(4) 계절적(季節的)인 의미 - 내용무 642
(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867
10. 酉金 729
(1) 상징성(象徵性) 737
(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673
(3) 지장간의 원리(原理) 781
(4) 계절적(季節的)인 의미 (白露-秋分) 705
(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815
11. 戌土 738
(1) 상징성(象徵性) 770
(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719
(3) 지장간의 원리(原理) 903
(4) 계절적(季節的)인 의미 (寒露-霜降) 782

(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844
12. 亥水 816
(1) 상징성(象徵性) 794
(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782
(3) 지장간의 원리(原理) 987
(4) 계절적(季節的)인 의미 (立冬-小雪) 815
(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945
▶ 천간지지편의 마무리 917

'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심리학 안내  (0) 2009.04.24
적천수강의 안내  (0) 2009.04.24
알기쉬운 용신분석 안내  (0) 2009.04.24
알기쉬운 합충변화 안내  (0) 2009.04.24
알기쉬운 음양오행 안내  (0) 2009.04.24
Posted by 동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