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쉬운 천간지지 안내 | 1828 |
|
▶ 들어가는 말 | 1606 |
|
제1부 간지 일반론 | 2400 |
|
1장 전설따라 역사기행 < 천간지지편 > | 2190 |
|
1장 천간지지의 정의 | 2476 |
|
1. 干支의 陰陽 | 2990 |
|
2. 干支의 결합(結合) | 2647 |
|
3. 사주결합의 총 숫자는 과연 몇개일까? | 2544 |
|
4. 쌍둥이의 사주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 2566 |
|
5. 사주학을 비방하는 사람이 가라사대 | 2114 |
|
6. 간지의 결합(結合)이 어디까지 책임질것인가? | 2212 |
|
7. 간지학(干支學-명리학)의 활용 | 2134 |
|
2장 十干의 特性 | 2009 |
|
1. 先天數의 원리와 십간의 원형(原形) | 1959 |
|
(1) 一은 天地의 출발점이다. | 2152 |
|
(2) 二는 열(熱)이 발생한다고 본다. | 1780 |
|
(3) 三은 조절(調節)하려고 발생되는 기운(氣運)이다. | 1661 |
|
(4) 四는 三을 견제하는 브레이크이다. | 1610 |
|
(5) 五는 일차적(一次的)인 통일을 의미한다. | 1641 |
|
(6) 六은 비로소 물방울이 발생한다. | 1683 |
|
(7) 七은 빛이 생겼다고 본다. | 1598 |
|
(8) 八은 생명체가 발생한다고 본다. | 1554 |
|
(9) 九는 결실이며 성장억제로 작용한다. | 1598 |
|
(10) 十은 토양이 생성된다고 본다. | 1612 |
|
2. 後天數의 원리와 十干의 작용(作用) | 1767 |
|
(1) 甲은 삶의 시작이다. | 2324 |
|
(2) 乙은 목이 굳어진 것이다. | 2120 |
|
(3) 丙은 폭발력이 강한 성분이다. | 1986 |
|
(4) 丁은 구체화된 열기(熱氣)라고 본다. | 1802 |
|
(5) 戊는 무성하다는 의미가 있다. | 1870 |
|
(6) 己는 비로소 성장을 마친다. | 1806 |
|
(7) 庚은 초벌수확기라고 본다. | 1740 |
|
(8) 辛은 수확의 갈무리라고 보자. | 1814 |
|
(9) 壬은 정신적인 승화(昇華)가 될것이다. | 1803 |
|
(10) 癸는 마무리에 해당한다. | 1782 |
|
3장 십이지지(十二地支)의 이해 | 1802 |
|
(1) 子는 동짓달에 해당한다. | 2118 |
|
(2) 丑은 섣달에 해당한다. | 1856 |
|
(3) 寅은 정월달에 해당한다. | 1785 |
|
(4) 卯는 2월달에 해당한다. | 1708 |
|
(5) 辰은 3월달에 해당한다. | 1646 |
|
(6) 巳는 4월달에 해당한다. | 1650 |
|
(7) 午는 5월달에 해당한다. | 1660 |
|
(8) 未는 6월달에 해당한다. | 1626 |
|
(9) 申은 7월달에 해당한다. | 1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