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쉬운 천간지지 안내 1828
▶ 들어가는 말 1606
제1부 간지 일반론 2400
1장 전설따라 역사기행 < 천간지지편 > 2190
1장 천간지지의 정의 2476
1. 干支의 陰陽 2990
2. 干支의 결합(結合) 2647
3. 사주결합의 총 숫자는 과연 몇개일까? 2544
4. 쌍둥이의 사주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2566
5. 사주학을 비방하는 사람이 가라사대 2114
6. 간지의 결합(結合)이 어디까지 책임질것인가? 2212
7. 간지학(干支學-명리학)의 활용 2134
2장 十干의 特性 2009
1. 先天數의 원리와 십간의 원형(原形) 1959
(1) 一은 天地의 출발점이다. 2152
(2) 二는 열(熱)이 발생한다고 본다. 1780
(3) 三은 조절(調節)하려고 발생되는 기운(氣運)이다. 1661
(4) 四는 三을 견제하는 브레이크이다. 1610
(5) 五는 일차적(一次的)인 통일을 의미한다. 1641
(6) 六은 비로소 물방울이 발생한다. 1683
(7) 七은 빛이 생겼다고 본다. 1598
(8) 八은 생명체가 발생한다고 본다. 1554
(9) 九는 결실이며 성장억제로 작용한다. 1598
(10) 十은 토양이 생성된다고 본다. 1612
2. 後天數의 원리와 十干의 작용(作用) 1767
(1) 甲은 삶의 시작이다. 2324
(2) 乙은 목이 굳어진 것이다. 2120
(3) 丙은 폭발력이 강한 성분이다. 1986
(4) 丁은 구체화된 열기(熱氣)라고 본다. 1802
(5) 戊는 무성하다는 의미가 있다. 1870
(6) 己는 비로소 성장을 마친다. 1806
(7) 庚은 초벌수확기라고 본다. 1740
(8) 辛은 수확의 갈무리라고 보자. 1814
(9) 壬은 정신적인 승화(昇華)가 될것이다. 1803
(10) 癸는 마무리에 해당한다. 1782
3장 십이지지(十二地支)의 이해 1802
(1) 子는 동짓달에 해당한다. 2118
(2) 丑은 섣달에 해당한다. 1856
(3) 寅은 정월달에 해당한다. 1785
(4) 卯는 2월달에 해당한다. 1708
(5) 辰은 3월달에 해당한다. 1646
(6) 巳는 4월달에 해당한다. 1650
(7) 午는 5월달에 해당한다. 1660
(8) 未는 6월달에 해당한다. 1626
(9) 申은 7월달에 해당한다. 1612

(10) 酉는 8월달에 해당한다. 1259
(11) 戌은 9월달에 해당한다. 1041
(12) 亥는 10월달에 해당한다. 1083
제2부 십간 각론 989
1. 甲木 1160
(1) 첫 번째 천간 甲의 의미 1383
(2) 물질적(物質的)인 관점 1277
(3) 인간적(人間的)인 관점 1315
(4) 세계적(世界的)인 관점 1081
(5) 사주적(四柱的)인 관점 1425
2. 乙木 1053
(1) 두 번째 천간 乙의 의미 1080
(2) 물질적인 관점 1189
(3) 인간적인 관점 1107
(4) 세계적인 관점 997
(5) 사주적인 관점 1239
3. 丙火 1035
(1) 세 번째 천간 丙의 의미 1100
(2) 물질적인 관점 1057
(3) 인간적인 관점 1037
(4) 세계적인 관점 967
(5) 사주적인 관점 1194
4. 丁火 999
(1) 네 번째 천간 丁의 의미 1062
(2) 물질적인 관점 995
(3) 인간적인 관점 989
(4) 세계적인 관점 927
(5) 사주적인 관점 1154
5. 戊土 981
(1) 다섯 번째 천간 戊의 의미 1013
(2) 물질적인 관점 1017
(3) 인간적인 관점 1012
(4) 세계적인 관점 987
(5) 사주적인 관점 1142
6. 己土 944
(1) 己土의 세가지 의미 1048
(2) 물질적인 관점 959
(3) 인간적인 관점 937
(4) 세계적인 관점 932
(5) 사주적인 관점 1091
7. 庚金 976
(1) 일곱째 천간 庚의 의미 998
(2) 물질적인 관점 962
(3) 인간적인 관점 1020
(4) 세계적인 관점 994

(5) 사주적인 관점 1034
8. 辛金 951
(1) 매울 신의 의미 951
(2) 물질적인 관점 857
3) 인간적인 관점 898
(4) 세계적인 관점 821
(5) 사주적인 관점 968
9. 壬水 821
(1) 아홉째천간 壬의 의미 923
(2) 물질적인 관점 810
(3) 인간적인 관점 796
(4) 세계적인 관점 739
(5) 사주적인 관점 943
10. 癸水 813
(1) 열째천간과 생리적인 癸의 의미 830
(2) 물질적인 관점 850
(3) 인간적인 관점 839
(4) 세계적인 관점 807
(5) 사주적인 관점 919
3부 十二支 各論 987
0. 地支와 支藏干의 關係 1066
(1) 절기(節氣)에 대한 이해 1035
(2) 지장간의 월률분야(月律分野) 1189
(3) 지장간의 인원용사(人元用事) 1091
(4) 지장간이 혼란스러운 이유는? 1123
1. 子水 1003
(1) 상징성(象徵性) 1104
(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1050
(3) 지장간의 원리(原理) 1153
(4) 계절적(季節的)인 의미 (大雪~冬至) 1035
(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1144
2. 丑土 980
(1) 상징성(象徵性) 991
(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997
(3) 지장간의 원리(原理) 1073
(4) 계절적(季節的)인 의미 (小寒~大寒) 2380
(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1069
3. 寅木 953
(1) 상징성(象徵性) 962
(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898
(3) 지장간의 원리(原理) 1011
(4)계절적(季節的)인 의미 (立春~雨水) 984
(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973
4. 卯木 956
(1) 상징성(象徵性) 953

(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898
(3) 지장간의 원리(原理) 955
(4) 계절적(季節的)인 의미 (驚蟄~春分) 900
(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965
5. 辰土 898
(1) 상징성(象徵性) 952
(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921
(3) 지장간의 원리(原理) 973
(4) 계절적(季節的)인 의미 (淸明~穀雨) 939
(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963
6. 巳火 932
(1) 상징성(象徵性) 941
(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900
(3) 지장간의 원리(原理) 974
(4) 계절적(季節的)인 의미 (立夏~小滿) 877
(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924
7. 午火 887
(1) 상징성(象徵性) 967
(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845
(3) 지장간의 원리(原理) 830
(4) 계절적(季節的)인 의미 717
(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829
8. 未土 762
(1) 상징성(象徵性) 780
(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722
(3) 지장간의 원리(原理) 885
(4) 계절적(季節的)인 의미 - 내용무 587
(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894
9. 申金 733
(1) 상징성(象徵性) 748
(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669
(3) 지장간의 원리(原理) 819
(4) 계절적(季節的)인 의미 - 내용무 642
(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867
10. 酉金 729
(1) 상징성(象徵性) 737
(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673
(3) 지장간의 원리(原理) 781
(4) 계절적(季節的)인 의미 (白露-秋分) 705
(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815
11. 戌土 738
(1) 상징성(象徵性) 770
(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719
(3) 지장간의 원리(原理) 903
(4) 계절적(季節的)인 의미 (寒露-霜降) 782

(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844
12. 亥水 816
(1) 상징성(象徵性) 794
(2) 이치적(理致的)인 연구 782
(3) 지장간의 원리(原理) 987
(4) 계절적(季節的)인 의미 (立冬-小雪) 815
(5) 오행의 상황판단(狀況判斷) 945
▶ 천간지지편의 마무리 917

'명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심리학 안내  (0) 2009.04.24
적천수강의 안내  (0) 2009.04.24
알기쉬운 용신분석 안내  (0) 2009.04.24
알기쉬운 합충변화 안내  (0) 2009.04.24
알기쉬운 음양오행 안내  (0) 2009.04.24
Posted by 동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