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지요법 증상별 장부 허실의 판단법

정 상

정 신 면

신 체 면

폐허(肺虛)

호흡 곤란, 의욕 상실,피로 감

상반신이 차가워지고 정신적 허탈, 공허감

기분이 나쁘고,가슴이 막힌다.

모든 일에 신경질적으로

과민,활기가 없다.

안색 창백,마른 건 기침

숨이 가빠 눕기가 힘들다

감기에 잘 걸린다

호흡기의 염증이나 가래는 비교적 적은 편

정력이 이상적으로 강하다

얼굴에 홍조(붉은 빛)가 돌고

도한증(盜汗症: 잘 때만 땀 나는 증세)

말을 하기를 싫어 하고 인후가 건조하거나 혈색이 없다.

폐실(肺實)

가슴이 뻐근하고 숨이 막히고, 감기,기침은 있으나 땀이 적다

걱정거리나 수심이 가득하다

생각이 우둔,땀이 적다

가끔 큰 한숨을 쉬고 숨 들여 마시기가 힘들다

머리와 전신의 마디가 아프다

코가 막히고,콧물이 흐른다

해수에 걸리고,기침

가슴이 뻐근하고(대흉근)번거롭다

변비또는 혈변

폐기종,천식과 함께

담(가래)이 진하고 질기고 엄지손가락이 동반하여 통증

대장 허(大腸虛)

적극성이 부족하고 코,기관지가 약하고 아랫배가 차가워진다

서헤부에 이상이 생길 수가 있다

적극성이 없고 의처증이 강하다.

스스로 무엇인가를 하려는 것이 없다

코가 건조하고 막히고,기관지가 약하다

변비 또는 혈변

조금 냉한 것을 먹는다면 곧 설사

아랫배가 차가워지고 오한이 난다

양측의 엄지손가락측에 힘이 없다

허리로부터 하지에 걸쳐 힘이 없고

피부에 광택이 없고 피부 질환이 오기쉽다

대장 실(大腸實)

배설 불량으로 하복부가 뻐근한다

현기증 나고,인후가 잘 붓는다

항상 자신을 억제하는 스타일이다.

고민을 누구에게도 토로하지 않는다.

현기증 , 두통이 난다

콧물이 나온다.편도염,下齒痛

흰자위가 탁해지고,어깨 가 무겁고

양측의 엄지손가락이 붓고 변비 증또는 설사

피부가 가렵고 염증이 생기기 쉽다

운동 부족,기침

하복부 팽만,치질이 발생하기 쉽다.

비허(脾虛)

동작이 둔하고 소화 불량 복부팽만 복통,입이 마른다.

슬관절 통.

생각을 많이 한다.

만사에 신경예민하다

불안하고 침착성 없다

배가 허전하여 무턱대고 무엇인던 먹고자 한다

기분내키는데로 표현한다

머리 만 사용하고 있다.

기억력 감퇴,졸립고, 모든 일에 단락이 연결되여 지지 않는다.

위액의 분비가 나쁘고 빈혈

타액이 적어 입이 잘 달라붙는다

입안이 쓰고,목이 갈증

물이 없는다면 식사를 할 수 가 없다

안면은 황색에서 점차로 흑변하고

생기 없고, 운동 부족으로 몸이 둔하다

하지의 전면이 차가워진다

등배에 통증이 올 수가 있다

비실(脾實)

생각을 지나치게 하나 실제 움직임은 없다.

타인과 이야기하지 않고 혼자 생각한다

마음이 약하고 소극적.

깊은 사색에 잘 잠긴다

경계심 강하고 불안하다

마음이 편안하지 않다

입이 마르고,잘 달라붙다

식욕이 없어 음식의 맛을 모른다

위산 과다,신경성 위염

과식을 하고 비만에 이른다

다리가 무겁고 전신에 힘이 없다

팔뚝이 딱딱해지고 있다

배꼽의 주위가 단단한 경결로 뭉친다

얼굴색은 흑색으로 광택이 없다

활동하기를 싫어 한다

식성에 변덕이 심하다

견갑골에 통증이 올 수가 있다

늘 허리가 차고 시린 감을 느낀다





위허(胃虛)

식욕이 없다,

빈혈이 온다.

눕기를 좋아하고 따듯한 것이나 부드러운 것을 좋아한다

기분에 따라서 식욕이 좌우되기 쉽다.

식사가 불규칙하다

위가 약하여 위하수로 변할 수가 있다

식욕이 없지만 먹으면 먹을 수 있다

위장이 차가워진다

하품이 자주나온다.

다리가 무거워 조금만 걸어도 지친다

코 가 막히는 축농이 올수가 있다

신체의 전면이 냉하고

근육에 힘이 없다

위실(胃實)

위가 팽만하지만 음식의 탐욕이 심하여 먹어도 배가 고프다

신경이 예민하여 진다.

욕구 불만이나 애정의 부족을 편법으로 과식함으로 욕구를 채우는 경우가 있다.

먹기를 좋아하고

팽만하면 구토한다.

산부인과 질환,위산 과다

구내염,목이 마르고, 항상 어깨의 통증이 있다

명치끝의 통증이 심하고 감기 기운이 항상 몸에 배여 있다

몸에 열이 있고 찬 것을 좋아 한다

빈혈이나 축농증, 기미 같은 질환이 올수가 있다

심허(心虛)

피로,쇼크,불안감등 신경 긴장이 있다.

말을 할 기운이 없다 기력이 없다

정신적인 피로감,쇼크,신경긴장,스트레스로 노이로제 발생

걱정에 의한 식욕 부진,어수선하고 침착성 결열

건망증,불안이 있고 정신적인 피로기미.

상복부에 힘이 없다

명치가 심하게 통증.

심장 증상,가슴이 두근거리기 쉽다

복벽의 긴장이 강하다.

혀가 힘이 없다

손에서 땀이 배고 있다

지치기 쉽다

협심증,심근 경색

설태가 있다.

심실(心實)

어수선하고,안정되지 않는다.

이해력이 떨어진다

긴장이 계속되고,불안감과 초조감,

불안정이 계속된다.

모든 일에 과잉으로 무리를 하여 피곤이 가시지 않는다

혀가 뻣뻣히 굳어가고 명치 끝이 답담하며, 잘(쓸 때 없이) 웃는다

노이로제 현상 나타난다

입과 혀에 종기 발생

혀가 굳어 가고 중설(重舌:이중으로 혀 가 생기는 모양)이 발생한다.

음식을 잘 넘기지 못한다

심장 부팽융,심장 압박 감.상반신의 긴장 강하다

손바닥이 달아오르고

현기증,두팔의 운동이 곤란

견배통이 발생한다.

입안이 쓰고,인후통이 발생

소변의 색이 붉다.

잠이 안온다.

吐血이나 鼻血이 발생한다

소장 허(小腸虛)

영양 흡수 나쁘고,현기증 나고,요통,월경 불순, 피로가 심하다.

신경을 쓰는 것이 많으나 참을성이 많고 모든 것을 억제하려 한다

고민하는 것이 많고, 무엇인가 하려는 의지가 강하나 조그만 자극에도 충격이 강하다

영양상태가 나빠 빈혈이 있다

하반신에 울혈 되여 다리와 허리가 차가 웁다

하반신에 힘이 없고 다리가 무겁다

산후 어혈이 문제가 될 수가 있다

충수돌기염(맹장)이 되기 쉽다

변비,횡격막통증을 유발한다

난청,월경불순,난소통이 온다

하퇴 내측이 아프다

편두통 특히 귀 뒷면이 아프다

소장 실(小腸實)

참을성이 많다.

하복부 울혈과 요통 및 견배통 발생

소화불량, 현기증

참을성이 많다

마음이 편하지 않다.

신경쓰면 식욕이 감퇴

눈에 충혈이 있고, 현기증 나고 머리가 지끈거린다

소변이 붉고 배뇨시 통증이 있다

명치끝이 답답하고 번거롭다

눈과 귀에 충혈이 된다

목이 뻣뻣한 감이 있다

소화 불량,숙변이 있고 배변이 상쾌하지 않다

장골동맥의 압박으로 하지의 순환장애가 발생한다

오십견,상치통(上齒痛) 발생

'동양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학대계(韓國醫學大系) 무엇인가?  (0) 2009.05.17
퇴계 이황의 건강법 - 활인심방[活人心方]  (0) 2009.05.09
14 기맥(수체)  (0) 2009.04.07
암 잘 걸리는體質 따로 있다  (0) 2009.03.27
복모혈  (0) 2009.03.22
Posted by 동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