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足太陰 脾經(SP) [Stomach Meridian] (五行屬性 : 土性)
족태음비경의 순행[足太陰脾經流注] 계속하여 정강이뼈 뒤를 따라 족궐음경맥의 앞에서 교차되어 올라가 무릎과 허벅다리 앞쪽(음릉천혈)을 따라 뱃속으로 들어가 비에 속하고 위에 연락되었다. 그리고 가름막을 뚫고 올라가 목을 끼고 혀뿌리에 가서 혀 밑에서 갈라졌다. 그 한 가지는 위에서 갈라져 가름막을 뚫고 올라가 심으로 갔다(여기서 수소음경맥과 연계된다). ○ 시동병(是動病)은 혀뿌리가 뻣뻣해지고 음식을 먹으면 구역을 하며 위가 아프고 헛배가 부르며 트림을 많이 하고 대변을 누거나 방귀가 나가면 시원하여 나은 것 같고 몸이 무겁다. 이것은 주로 비와 관련된 병이다. 主治 : 胃腸,生殖器疾患 |
1. 비경의 순행과 해설 및 허실구분
가. 비경의 순행 복부에서 임맥의 중극, 관원,하완등 혈과 교회한 후 비에 속(屬)하고, 위(胃)에 락한다.그리고 다시 상향(上向) 족소양담경의 일월혈에 교회하고 족궐음간경의 기문혈에 상회한다. 횡격막을 통과하여 식도 양옆으로 올라가며 수태음폐경의 중부혈을 경과하고난 후 인후 양방을 따라 설근부에 도달하여 설하(舌下) 즉 혀 밑으로 산포(散布)된다. 그 일조분지는 위부에서 분출(分出)하여 따로이 횡격막을 통과 맥기는 심장중 (心臟中)으로 주입(注入)된다. 나. 비경의 해설 1) 비경락은 췌장, 비장과 소화기 계통과 脾계의 모든 기능을 조절한다. 2) 脾經의 주임무는 비장의 기능을 조절하여 소화 흡수와 신진대사를 조절한다. 3) 비와 위경은 表裡의 관계이므로 상호 기능을 유지한다. 그러므로 비의 병은 위경에서 위의 병은 비경에서 다스린다. 4) 脾의 적응증 췌액의 소화 작용을 보면, 다. 비의 허실 구별 1. 비허는 위실에서 구별하고(위실 비허) 비실은 다음과 같다. 1. 실하면 곽란 토습이 일어나고 양중이 절통하며 허하면 고창이 생긴다. 2. 비의 허실 증상 1). 비실증 2). 비허증 |
2. 비경의 임상요혈과 21혈
가. 비경의 임상 요혈 은백(隱白) : 정목혈(井木穴) -비(脾)의 허실을 조절, 복통, 정신병을 조절. | ||||||||||||||||||||||||||||||||||||||||||||||||||||||||||||||||||||||||||||||||||||||||||||
|
'동양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手太陽 小腸經 (0) | 2009.11.08 |
---|---|
5. 手少陰 心經 (0) | 2009.11.08 |
3. 足陽明 胃經 (0) | 2009.11.08 |
2. 手陽明 大腸經 (0) | 2009.11.08 |
手太陰 肺經 (0) | 2009.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