手太陰 肺經

동양의학 2009. 11. 8. 20:24

1. 手太陰 肺經(Lu)[Lung Meridian](五行屬性 :金經)

수태음폐경 경혈도

수태음폐경의 순행[手太陰肺經流注]

○ 소생병(所生病)은 기침이 나고 숨이 차서 헐떡거리고 답답하며 가슴이 그득하고 팔죽지와 팔뚝의 안쪽 앞이 아프고 차며 손바닥이 단다. 이 경맥의 기가 실하면 어깨와 잔등이 아프며 풍한이 침입하여 기가 실하여지면 땀이 나고 중풍으로 기가 실하여지면 오줌이 잦으며 하품을 한다.
기가 허하면 어깨와 잔등이 아프고 시리며 숨을 제대로 쉴 수 없다. 기가 실할 때에는 촌구맥이 인영맥보다 3배나 크며 허할 때에는 도리어 촌구맥이 인영맥(人迎脈)보다 작다[영추].
○ 이 경맥의 경기는 매일 아침 인시(새벽 3~5시)에 중부혈에서 시작하여 팔뚝을 따라 내려가 소상혈에 가서 끝난다[입문].

主治 : 胸,喉,肺疾患,發熱病,全身氣血壅滯,小便不利

※ 경맥의 병에는 시동병과 소생병이 있다는 데 대하여[脈病有是動有所生病]

『난경』에는 경맥에 시동병(是動病)이 있고 소생병(所生病)이 있다는 데 한 경맥에 갑자기 두 개의 병이 생기는가고 하였다.
그것은 『내경』에 “시동병은 기병이고 소생병은 혈병이다”라고 한 것과 같이 사기가 기에 있으면 시동병이 되고 사기가 혈에 있으면 소생병이 된다.
기는 숨쉬는 것을 주관하고 혈은 축이는 것을 주관하는데 기가 머물러 있으면서 돌아가지 못하면 기가 먼저 병이 들고 혈이 막히어 축여 주지 못하면 혈이 후에 병이 된다.
그러므로 먼저 시동병이 되고 다음에 소생병이 된다.

1. 폐경의 순행과 해설 및 허실구분

가. 폐경의 순행

수태음폐의 경맥은 중초(中焦) 위부(胃部)에서 시작 향하(向下)하여 표리관계가 되는 대장(大腸)을 락요(絡繞)하고, 다시 대장에서 반전상행하여 위(胃)의 상구(上口)인 분문부를 연한후 상향(上向)하여서 횡격막을 통과하며 폐장(肺臟)에 입속(入屬)한다.

다시 폐를 따라 올라가며 기관(氣管) 후두(喉頭) 및 모든 폐계(肺系)을 돌고, 후두부(喉頭部)에서 횡출(橫出)하여 액와(腋窩) 즉 겨드랑이의 하면(下面)으로가서 상비내측 (上臂內側)을 따라 하향(下向) 수소음심경(手少陰心經)과 수궐음심포경(手厥陰心包經)의 전면 (前面)으로 내 려가 주와에 이르고 전비내측요측연을 따라 완후 요골경상돌기의 내측하렴 촌구(寸口 )를 둘으고 수어복(手魚腹) 위 어제(象際) 연변을 따라 무지 요측의 말단에서 끝난다.

그 일조분지(一條分支)는 완후 (緩后) 즉 팔목뒤 요골경상돌기 상방에서 분출하여 손등(手背)을 향하여 시지 요측 말단으로 가서 수양명 대장경과 접경된다

나. 폐경의 해설

1) 폐2경은 폐장, 인후, 기관, 호흡 계통의 전체 기능을 조절한다. 폐의 주임무는 호흡에 의하여 기를 발생시킨다 하였으니, 장부의 기능과 순환기에도 큰 영향이 미친다. 폐경이 허한즉 호흡이 부족하며 불통하고, 폐실인즉 천만증(喘滿症)이 생긴다.

2) 폐와 대장은 표리(表裏)의 관계이므로 상호 기능을 유지한다. 그러므로 폐의 병을 대장경에서 치료하고, 대장의 병을 폐경에서 치료한다.

3) 폐허의 반응은 대장경에서 나타나고, 대장 허의 반응은 폐경에서 나타난다.

4) 호흡기병인 비강, 인두, 후두, 기관, 기관지병을 치료한다. 이것을 기도라고 한다. 기도는 공기의 통로인데, 흡기로써 습도, 온도를 조절하여 폐를 보호한다. 먼지나 이물을 제거하며 발설을 하고 냄새 맡는 후각 작용을 한다. 후두에 계속되어 식도의 앞을 내려와서 제 5흉추의 높이에서 기관지로 나뉜다.
길이는 약 10cm이다. 폐는 흉강내에 있고 반원 추상이며, 우폐는 3엽(상, 중, 하)이고, 좌폐는 상하 2엽이다. 폐는 외호흡을 통해 가스교환을 한다. 폐에서 이루어지는 외호흡과 전신의 조직에서 행하여지는 내호흡이 있다. 호흡은 1분간 16∼20회 (평균 18회. 성인 기준), 신생아는 40∼35회, 수면시 호흡수가 적으며, 여러 가지 요인으로 변동이 많다. 이외에 폐경은 흉강, 흉막, 견부의 병을 다스린다. 그리고 피부병과 위를 다스리며 음성을 주장한다.

5) 폐실증에는 열결, 척택, 공최, 중부혈이 요혈이며, 폐허증에는 태연, 열결, 경거, 중부

다. 폐경의 허실 구별

1. 폐허는 대장실에서 구별한다.
2. 폐실은 다음과 같다.
가. 공최, 척택, 중부의 압통
나. 제4지의 이상
다. 신실, 삼초, 소장실도 폐실에 해당된다.
라. 알레르기 질환, 류머티즘 질환도 폐실에서 온다.

폐의 허실증상

1) 폐가 실증인 경우

폐실(肺實)은 음실증(陰實證)이며, 간혹 신실증(腎實證)과 겸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신은 폐가 서로 상생(相生)이기 때문이다. 폐실이면 대장허이다.
폐실(肺實)일 경우에는 중부(中府)에 강한 과민 압통이 폐유(肺兪)에도 나타난다. 주로 우측에서 많이 발생하나 심한 기침, 기관지 천식, 기관지염, 편도선염, 인후염, 흉통, 요골신경통, 견배통, 폐렴, 피부 통증, 빈혈증, 백내장, 두통, 극심한 삼차 신경통, 협심증, 복통, 신장결석, 근육 경련, 안면신경 경련 등등에 특효이다. 특히 폐실이면 간허가 되므로 간혹 간보방을 함께 쓰는 것도 좋다

2). 폐(肺)가 허증(虛症)인 경우

폐허증(肺虛證)은 양실증(陽實證)에 속하며, 대장실 폐허로서 양실증의 대표적인 처방이다. 맥박이 느리고 무력할 때에 많이 쓰이고, 또는 폐보방과 대장사방을 합방해서 쓰면 효과가 대단히 강력하다. 이 폐허는 좌측으로 일어나는 예가 많다.
체증, 소화불량, 피로감, 두통, 정신 황홀, 정신 몽롱, 현기증, 피부 건조, 피부병, 연주장, 늑막염, 폐결핵, 건 기침, 갑상선 종대, 말초의 혈액순환 장해, 언어쇠약, 무기력, 신경과민, 고혈압, 동맥경화, 비듬이 많은 것, 발기력 부족, 좌측 견갑통, 요통, 양실 중풍, 간장병, 장의 질병, 십이지장궤양, 위궤양 등등 모든 양실증에 대단히 좋다.

2. 폐경의 임상요혈과 11혈

. 폐경의 임상요혈(臨床要穴)

중부(中府) : 모혈(募穴)-압진처(壓診處), 폐의 모든 병을 주치한다.
척택(尺澤)
: 합수혈(合水穴)-폐실(肺實)에 이용하여 폐염, 기관지염, 천식, 흉통
공최(孔最) : 극혈(隙穴)-폐의 급성병에 이용한다. 특히 치질, 탈항, 장출혈.
열결(列缺) : 락혈(絡穴)-임맥의 통혈(通穴). 면병요혈(面病要穴), 소변질환.
경거(經渠) : 경금(經金)-폐금의 대표혈. 강자하면 마비증이 온다. 신, 간병의 요혈.
태연(太然) : 원토(原土)-폐금을 보한다. 맥회혈, 맥진처, 양도락 진찰점, 폐의 원기를 다스린다.
어제(魚際) : 형화(熒火)-폐금의 화열을 조절. 감기, 열병, 위랭, 위열통.
소상(小商) : 정목(井木)- 폐의 급성병에 출혈, 인후, 편도선염, 두통, 흉통, 인사불성에 출혈, 정신병에도 이용한다.

나. 폐경의 11혈

혈명

부위

공통증

특효증

1.중부(中府)

가슴(제2늑간 바깥 단, 정중선 외방 6 cm)

호흡, 심장

편도선염

2.운문(雲門)

가슴(중부혈 상방 3cm)

호흡, 심장

편도, 오십견

3.천부(天府)

팔(윗팔 앞 안쪽 이두근의 기시부 부근)

호흡기병

코피 구토

4.협백(俠白)

팔(윗팔 앞 안쪽 척택혈 상방 15cm, 천부밑 3 cm)

호흡, 심장

5.척택(尺澤)

팔꿈치 (팔꿈치 앞면 중앙)

호흡, 심장

6.공최(孔最)

팔(앞팔 전면 척택혈에서 9cm아래)

호흡기병

치질, 발열

7.열결(列缺)

팔(안 팔목 상방 4.5cm)

호흡기병

한쪽 마비

8.경거(經渠)

팔(안 팔목 상방 3 cm)

호흡기병

열병한불출(熱病汗不出)

9.태연(太然)

손목(안 팔목-옆주름 위, 요골 경상 돌기 안쪽)

호흡, 심장

10.어제(魚際)

손(제 1중수골 밑 손바닥의 함몰부)

심장병

곽란

11.소상(小商)

엄지끝(엄지손가락 손톱 뿌리 바깥 3mm)

심장병

유선염, 곽란

'동양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足陽明 胃經  (0) 2009.11.08
2. 手陽明 大腸經  (0) 2009.11.08
5-1  (0) 2009.11.08
5  (0) 2009.11.08
中国中医科学院针灸医院专家出诊一览表  (0) 2009.11.08
Posted by 동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