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의학

한국의학대계(韓國醫學大系) 무엇인가?

동봉 2009. 5. 17. 09:12

한국의학대계(韓國醫學大系) 무엇인가?

의학서적 93종류의 귀중한 보물 의서 집성

▶ 한국의학대계(中國醫學大系) 93종류의 우리나라 역대의서를 총 50권으로 원문 영인본을 그대로 편찬한 방대한 의서 보물

1, 한국의학대계 제 1권(1-6권)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고려 고종 23년 1236년, 상중하권, 작자미상, 현존하는 한국의 가장오래된 의서, 일본 궁내청서릉부 소장]
구급방(救急方)[조선 세조 12년 1466년, 1책, 목판본 1책, 서울대학교 가람문고 소장]
구급이해방(救急易解方)[조선 연산군 4년 1498년, 1책, 활자본 1책, 고려대학교 화산문고 소장; 일본 경도대학도서관(부사천본) 소장; 한독약사관 소장]
구급양방(救急良方)[조선 명종 14년 1559년, 내의원 편찬, 5장, 필사본 5장, 장서각소장]
언해구급방(諺解救急方)[선조 40년 1607년 내의원 상하 2권 2책, 필사본 불분권 1책, 고 김두종박사소장 및 일본 봉좌문고 소장]
박시양방(博施良方)[연대 및 작자 미상, 목활자본 1책,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소장]

2, 한국의학대계 제 2권(1권)


구급간이방언해(救急簡易方諺解)[조선 성종 20년 1489년 윤호 임원준 허종 등 저, 9권 9책, 1,2,3,6,7서울대,김영탁,동국대,한독의약박물관,김완섭 소장] [보물 제 1236-1호(지정일: 1996-01-19]

3, 한국의학대계 제 3권(1권)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세종조, 유효통 노중례 박윤덕 집필, 1431~1433년, 1~85권] [보물 제 1235호(지정일: 1996-01-19]

4, 한국의학대계 제 4권(1권)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세종조, 유효통 노중례 박윤덕 집필, 1431~1433년, 1~85권]

5, 한국의학대계 제 5권(1권)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세종조, 유효통 노중례 박윤덕 집필, 1431~1433년, 1~85권]

6, 한국의학대계 제 6권(1권)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세종조, 유효통 노중례 박윤덕 집필, 1431~1433년, 1~85권]

7, 한국의학대계 제 7권(1권)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세종조, 유효통 노중례 박윤덕 집필, 1431~1433년, 1~85권]

8, 한국의학대계 제 8권(1권)


의림촬요(醫林撮要)[조선 명종 및 선조 때의 내의 양예수 ?~1597년, 활자본 13권 1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및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9, 한국의학대계 제 9권(1권)


의림촬요(醫林撮要)[조선 명종 및 선조 때의 내의 양예수 ?~1597년, 활자본 13권 1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및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10, 한국의학대계 제 10권(1권)


의림촬요(醫林撮要)[조선 명종 및 선조 때의 내의 양예수 ?~1597년, 활자본 13권 13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및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11, 한국의학대계 제 11권(1권)


동의보감(東醫寶鑑)[허준, 1596~1610년 편찬, 1613년 출판, 25권, 본영인 목각본은순조 14년(1814년)의 중간본(重刊本)의 대본(臺本)] [보물 제 1085호(지정일: 1991-09-30]

12, 한국의학대계 제 12권(1권)


동의보감(東醫寶鑑)[허준, 1596~1610년 편찬, 1613년 출판, 25권, 본영인 목각본은순조 14년(1814년)의 중간본(重刊本)의 대본(臺本)]

13, 한국의학대계 제 13권(1권)


동의보감(東醫寶鑑)[허준, 1596~1610년 편찬, 1613년 출판, 25권, 본영인 목각본은순조 14년(1814년)의 중간본(重刊本)의 대본(臺本)]

14, 한국의학대계 제 14권(1권)


동의보감(東醫寶鑑)[허준, 1596~1610년 편찬, 1613년 출판, 25권, 본영인 목각본은순조 14년(1814년)의 중간본(重刊本)의 대본(臺本)]

15, 한국의학대계 제 15권(1-2권)


사의경험방(四醫經驗方)[조선 인조 22년 1644년?, 이석간 외 3인, 목활자본 1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및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주촌신방(舟村新方)[조선 숙종 13년 1687년 주촌 신만 1620~?저, 서울대학교 규장각 및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16, 한국의학대계 제 16권(1권)


광제비급(廣濟秘笈)[이경화, 정조 14년, 4권 4책, 1790년경, 서울대학교 규장각 및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17, 한국의학대계 제 17권(1-2권)


수민묘전(壽民妙詮)[조선 정조 1777~1800년 4권 2책, 현재 필사본 2권만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단방신편(單方新篇)[茶山 丁苦鏞 舟村 申曼 錦石 李義絅, 강희 3년 1909년 유일서관 1책 간행, 서울대학교 규장각 필사본 및 한독의약박물관 연활자본 소장]

18, 한국의학대계 제 18권(1권)


제중신편(濟衆新編)[강명길, 정조 23년 1799년, 1~8권, 평양 의학출판사, 1965년, 여강출판사, 1992년, 서울대학교 규장각 및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19, 한국의학대계 제 19권(1권)


신기천험(身機踐驗)[조선 고종 3년 1866년, 실학자 최한기 저, 필사본 9권 6책, 명남루총서 소장]

20, 한국의학대계 제 20권(1권)


신기천험(身機踐驗)[조선 고종 3년 1866년, 실학자 최한기 저, 필사본 9권 6책, 명남루총서 소장]

21, 한국의학대계 제 21권(1권)


의감산정요결(醫鑑刪定要訣)[조선 헌종 15년 1849년, 서파 이이두 저, 3권 3책,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22, 한국의학대계 제 22권(1권)


본초부방편람(本草附方便覽)[조선 철종 6년 1855년, 혜암 황도연 저, 14책 28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소장]

23, 한국의학대계 제 23권(1권)


본초부방편람(本草附方便覽)[조선 철종 6년 1855년, 혜암 황도연 저, 14책 28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소장]

24, 한국의학대계 제 24권(1권)


본초부방편람(本草附方便覽)[조선 철종 6년 1855년, 혜암 황도연 저, 14책 28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소장]

25, 한국의학대계 제 25권(1권)


의종손익(醫宗損益)[고종 5년 혜암 황도연, 1868년, 13권 7책,1964~1991년,평양 의학출판사 상,하로 번역 발행, 서울대학교 규장각 및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26, 한국의학대계 제 26권(1권)


의종손익(醫宗損益)[고종 5년 혜암 황도연, 1868년, 13권 7책,1964~1991년,평양 의학출판사 상,하로 번역 발행, 서울대학교 규장각 및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27, 한국의학대계 제 27권(1-3권)


의방활투(醫方活套)[고종 6년 1869년, 혜암 황도연 저, 목판본 1권 1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및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방약합편(方藥合編)[황도연, 고종 22년, 1권 1책, 1885년, 서울대학교 규장각 및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춘감록(春鑑錄)[인당 이영춘 저, 1927년, 2권 2책,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28, 한국의학대계 제 28권(1-2권)


수진경험신방(袖珍經驗神方)[이인재 저, 1912년, 활자본 2권 1책,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의가비결(醫家秘訣)[소하 김우선 저, 활자본 2권 2책,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29, 한국의학대계 제 29권(1권)


의방신감(醫方新鑑)[한병련 저, 1912년, 활자본 3권 1책,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30, 한국의학대계 제 30권(1-4권)


단곡경험방초(丹谷經驗方抄)[저자 및 연도 미상, 필사본 1권,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의본(醫本)[저자 및 연도 미상, 필사본 1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찰병용약결(察病用藥訣)[저자 및 연도 미상, 필사본 1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팔진방(八陣方)[저자 및 연도 미상, 필사본 2책, 구왕실 장서각 소장]

31, 한국의학대계 제 31권(1-2권)


경험방(經驗方)[원본 경위 미상, 이왕직 소장본 1927년 10월 등사, 필사본 1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양방금단(良方金丹)[저자 및 연대 미상, 필사본 2권 2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32, 한국의학대계 제 32권(1권)


의휘(醫彙)[고종 8년 1871년경?, 금리산인(錦里山人) 저, 필사본 5권5책, 김신근 소장]

33, 한국의학대계 제 33권(1-5권)


태산요록(胎産要錄)[세종 16년 1434년, 판전의감사 노중례 저, 2권 1책, 일본 三本 榮博士 소장)[보물 제 1179호(지정일: 1993-11-05]
언해태산집요(諺解胎産集要)[선조 41년 1608년 허준 저, 1권 1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보물 제 1088호(지정일: 1991-09-30]
태교신기(胎敎新記)[순조 21년 1821년경, 진주유씨부 사주당 완산 이씨 저, 석판본 1책, 국립중앙도서관소장)
산방수록(産方隨錄)[저자 및 연도 미상, 목판본 1권, 성균관대도서관 소장]
의보(醫寶)[저자 및 연도 미상, 필사본 1책, 서울대도서관 일사문고 소장]

34, 한국의학대계 제 34권(1권)


급유방(及幼方)[조정준, 숙종 15년 13권 6책, 1689년, 서울대학교 규장각 및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35, 한국의학대계 제 35권(1-3권)


급유방(及幼方)[조정준, 숙종 15년 13권 6책, 1689년, 서울대학교 규장각 및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소아의방(小兒醫方)[대한제국 광무 2년 1898년 최규헌 저, 활자본 1책,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경험비방 소아보감(經驗秘方 小兒保鑑)[1936년 이승천저, 활자본 1책,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36, 한국의학대계 제 36권(1-3권)


마진기방(麻疹奇方)[조선 영조 35년 1759년경 이헌길 저, 필사본 1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마진편(麻疹篇)[조선 정조 10년 1786년 원학산인 유의태 저, 활자본 1책, 한독의약박물관소장]
마과회통(麻科會通)[조선 정조 22년 1798년 다산 정약용 저, 활자본 12권 6책, 여유당전집 제 7권에 수록]

37, 한국의학대계 제 37권(1-7권)


언해두창집요(諺解痘瘡集要)[선조 34년 1601년 허준 왕명받아 선조 41년 1608년 목판본 상 하 2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및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두창경험방(痘瘡經驗方)[조선 효종, 현종 때 1649~1674년 박진희 저, 목판본 1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의가신방(醫家神方)[조선 헌종 2년 1836년경?, 필사본 1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경험두방(經驗痘方)[조선 고종 6년 1869년 다산 정약용 저, 필사본 1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시종통편(時種通編)[조선 순종 17년 1817년 이종인 저, 목판본 상 하 1권, 서울대학교 규장각 및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제영신편(濟新編)[조선 고종 26년 1889년 이재하 저, 목판본 2권 1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인부수지(人父須知)[저자 및 연대 미상, 필사본 1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38, 한국의학대계 제 38권(1-9권)


간이벽온방(簡易瘟方)[조선 중종 19년 1524년 김순몽 류영정 박세거 공저, 1권 1책, 고려대 도서관 및 일본 궁내성 및 서울대 규장각 소장][보물 제 1249호(지정일: 1997-06-12]
분문온역이해방(分門瘟疫易解方)[조선 중종 37년 1542년 김안국 외 4인 공저, 목판본 1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일부 소장]
신찬벽온방(新纂瘟方)[조선 광해군 5년 1613년 허준 저, 내의원활자 1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보물 제 1087호(지정일: 1991-09-30]장]
벽역신방(辟疫神方)[조선 광해군 5년 1613년 허준 저, 내의원 1권 1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및 한독의약박물관 소장][보물 제 1086호(지정일: 1991-09-30]
벽온신방(辟瘟新方)[조선 효종 4년 1653년 안경창 등 공저, 목판본 1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및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치종비방(治腫秘方)[조선 명종 14년 1559년 임언국 저, 일본 궁내성 서릉부 소장, 이책 영인본 장서각 소장]
약산호고종방촬요(若山好古腫方撮要)[조선 순조 후기 또는 헌종 때 강이오 저, 필사본 1책, 구왕실 장서각 소장]
침구요결(鍼灸要訣)[선조 33년 1600년 유성룡 저, 1책,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침구 경험방[조선 인조 22년 1644년 태의 허임 원저, 목판 1권 1책, 김달래 역, 정담, 1999년, 서울대 및 한독의약박물관 및 일본 경도대학 소장]

39, 한국의학대계 제 39권(1-2권)


찬도방론맥결집성(纂圖方論訣集成)[선조 14년 1581년 허준 저, 목판본 4권 4책, 서울대 규장각 및 한독의약박물관 소장][보물 제 1111호(지정일: 1991-12-16]
경락학총론(經絡學總論)[홍종철 1852~1919년] 저?, 영인 활자본 1책]

40, 한국의학대계 제 40권(1-3권)


이양편(二養編)[조선 광해군 3년 1613년 조탁 저, 목판본 상하 2편 9책,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수양총서류집(壽養叢書類輯)[조선 광해군 12년 1620년 이창정저, 목판본 2권 2책,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의약감(醫藥鑑)[조선 철종 7년 1856년 박호 저, 각세신편팔감 11권 6책중 11권이 의약감 활자본,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도장집요초(道藏輯要抄)[이도순 저, 도장 50여권 중 양생 관계된 몇 종류 초록함, 필사본 1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41, 한국의학대계 제 41권(1-5권)


향약채취월령(鄕藥採取月令)[조선 세종 10년 왕명으로 편성 동 13년 1431년 유효통 노중례 박윤덕 공저, 필사본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본초정화(本草精華)[저자 및 연대 미상, 필사본 상 하 2권 2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언해납약증치방(諺解臘藥症治方)[조선시대 내의원 간행 추정?, 매년 납일(12월)에 상비약 준비를 납약이라함, 목판본 1권,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약방등록(藥房謄錄)[저자 및 연대 미상, 조선시대 내의원약방에서 납약 수량 등록한 내용, 필사본 1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목과일람(目科一覽)[저자 및 연대 미상, 우리나라 최초 안과전문의서, 필사본 1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42, 한국의학대계 제 42권(1-5권)


해혹변의(解惑辨疑)[조선 순조말~현종 초년 이진하 저, 필사본 1책, 구왕실 장서각 소장]
황제내경소문대요(黃帝內經素問大要)[대한제국 광무 10년 1906년 석곡 이규준 저, 목판본 4권 2책,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의약론(醫藥論)[세조 9년 12월 왕이 직접 저술, 세조실록 31권에 수록]
의령(醫零)[조선 정종 22년 1798년 다산 정약용 저, 활자본 1권, 여유당전집 제 7권 권말에 수록]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이제마, 1894년 고종 31년 편찬, 4권 2책,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동의사상신편
(東醫四象新編)[1928년 동의수세보원의 내용 이제마의 제자들이 재편집, 활자본 1책,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43, 한국의학대계 제 43권(1-3권)


초창결(草窓訣)[조선 영조 원년 1725년 윤동리 저, 운기론에 대한 의서, 필사본 1책,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초당유결(草堂遺訣)[저자 및 연대 미상, 오운육기에 관한 의서, 필사본 1책,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제륭편(濟篇)[저자 및 연대 미상, 오운육기에 관한 의서, 필사본 1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44, 한국의학대계 제 44권(1-3권)


증보산림경제 구급편(增補山林經濟 救急篇)[영조 42년 1766년 홍만선 산림경제를 유중림이 16권 12책으로 증보, 14권이 구급편,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고사촬요 잡용속방편(事撮要 雜用俗方篇)[명종 9년 1554년 어숙권 저, 활자본,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고사신서 일용문, 의약문(事新書 日用門, 醫藥門)[조선 영조 47년 1771년 서명응이 고사촬요 새로 증책, 활자본 15권 7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45, 한국의학대계 제 45권(1권)


인제지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仁濟志)[조선 후기 서유구(1764~1845)가 총 113권 52책 중 인제지 28권 14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46, 한국의학대계 제 46권(1권)

인제지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仁濟志)[조선 후기 서유구(1764~1845)가 총 113권 52책 중 인제지 28권 14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47, 한국의학대계 제 47권(1권)


인제지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仁濟志)[조선 후기 서유구(1764~1845)가 총 113권 52책 중 인제지 28권 14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48, 한국의학대계 제 48권(1권)


인제지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仁濟志)[조선 후기 서유구(1764~1845)가 총 113권 52책 중 인제지 28권 14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49, 한국의학대계 제 49권(1-3권)


신주무원록(新註無寃錄)[조선 세종 20년 1438년 왕명으로 최치운 이세형 등 무원록에 주해붙여 목판본 2권 1책 발행,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증수무원록언해(增修無寃錄諺解)[영조 21년 1745년 구택규 증수무원록 상하권 개정 1748년, 아들 구윤명 목판본 3권 2책 주해 첨가, 서울대 규장각 소장]
검요(檢要)[저자 미상, 조선 순조 1801~1834년 무원록 부족한 곳 보충함, 필사본 2권 2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50, 한국의학대계 제 50권(1-6권)


신편집성우마의방(新編集成牛馬醫方)[조선 정종 원년 1339년 2권 1책, 목판본은 일본, 필사본 및 영인본은 고려대 화산문고 및 한독의약박물관 소장]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牛馬羊猪染疫病治療方)[저자 미상, 조선 중종 36년 1541년 활자본 및 목판본1책, 고려대, 서울대, 일본 소장]
마경초집언해(馬經抄集諺解)[조선 인조 1623~1649년 이서 저? 활자본 상하 2권 2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응골방(鷹方)[고려 충혜왕 1340~1344년 이문열 저, 매에 대한 전서적, 필사본 1책, 서울대학교 도서관 가람문고 소장]
의과선생안(醫科先生案)[조선 연산군 4년 1498년부터 고종 28년 1891년까지 158회 의과시험에 급제한 사람 성명록, 필사본 1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의과팔세보(醫科八世譜)[헌종 6년 1840년부터 고종 27년 1890년까지 의과사관인 8대조까지 인물 등 기록, 필사본 1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한국의학대계 총 50권속에는 93권의 의료서적이 들어 있으며 국가 보물로 지정된 의서가 총 9권이 수록되어 있는 보물로서 가치가 있다. 비록 방대한 의방류취와 같은 의서들이 빠진 부분들이 있기는 하지만 우리나라 고전 의료 서적 중의 대작이라고 볼 수 있다. 필자는 이미 출판된지 오래되었고 이 전집을 출판한 과거 "여강출판사" 마저 주인이 바뀌어 절판되었음을 알고 헌책방 및 고서점 등을 철저히 탐문하던 중 발견하여 총 50권의 전질을 구입하여 <한국토종야생산야초연구소> 필자의 개인도서실에 비치하여 놓고 필요할 때마다 한문 옥편을 참조하면서 중요한 부분을 홈페이지 <천연물질대사전>에 글을 올릴 때 인용하고 있다.

까마득한 옛날부터 우리 조상들은 체험을 통해서 여러 가지 민간요법등을 모아서 실험하고 갈고 닦아서 보석과 같은 방대한 의서를 후손들에게 유산으로 남겨 놓았다. 조상들이 물려준 이 훌륭한 경험처방을 현대의학과 비교 분석해 보고 취사선택하여 약이 되는 천연물질들을 현대의 첨단장비로 성분을 연구해 봄으로써 질병치료에 탁월한 신약을 개발하여 희귀난치병으로 고생하는 지구 가족에게 한줄기 희망의 빛을 밝게 비추어 모두가 무병장수할 수 있는 그날이 올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글/ 약초연구가 전동명 )

참고문헌:
http://jdm0777.com.ne.kr/Chamgomunheon.htm

산야초연구소에 보관된 한국의학대계 1-50권 대형사진감상: 1,

참고: 중국의학대계 무엇인가?